-
해서 안 되는 실수 (홍익인간 인성교육 12500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7. 30. 11:28
정법강의 12500강 해서는 안 되는 일은 절대 없습니다.
우리가 하고 있는 게 실수가 아니고 모자라는 만큼 어떤 행동을 한 것입니다.
내가 모자라니까 모자라는 만큼의 행동 속에서 나와서 어떤 일을 하는 것이지,
이것을 내가 사회 실수를 했다, 죄를 지었다 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에게서 일어나는 것은 내 죄가 아니고, 사회 복합적인 환경에서 내가 풀어갈 방법을 푸는 것입니다.
이것도 세상에 답입니다. 이것을 상대들이 어떻게 대하느냐는 엄청나게 달라지는 것입니다.
누가 사기를 쳤습니다. 사기 치면 엄청나게 잘못했는 줄 알고 있습니다.
사기 친 것은 잘못한 것이 아니고, 세상을 일깨워 준 것입니다.
이렇게 하니까 나에게 돌 던질라, 사기꾼 옹호한다고. 사기꾼은 벌 받을 사람이 아니고,
세상에 사기를 당하게끔 사는 사람이 있으면 그 역할을 하러 와야 됩니다. 이것이 자연의 이치입니다.
사기를 잘 쳤습니다. 그래서 이 사람이 사기를 잘 쳤으니 가서 내가 힘들까요?
나는 좋고 누가 힘들어요? 당한 사람이 힘듭니다.
힘든 사람이 누구냐 하면, 잘못한 사람이 힘든 것입니다.
세상에 우리가 분별하는 법을 지금 배워야 됩니다.
사기를 당한 사람이 힘든데, 사기를 친 사람을 나쁜 사람이라고 지금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 사람은 조금 있으면 사기 또 당해야 됩니다. 사기는 당한 사람이 또 당합니다.
왜? 당한 사람이 나를 빨리 깨우쳤으면 두 번 다시 안 당하는 게 사기입니다.
오른뺨을 때리면 왼뺨도 내놓으라고 했다는데, 등신 아닙니까?
하느님이 했다는데, 그 소리 누가 들었는지 모르지만 하느님이 그렇게 한 적 없답니다.
오른뺨을 때리면, 다음에 왼뺨을 안 맞을 생각을 해야지, 그것이 바른 생각입니다.
내가 지금 한 행동이 잘못했다고 하지만, 상황 속에서 나는 최대한 방법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내가 알고 나면 어떻게 되느냐? 이것 안 합니다.
모르니까 그 짓 하지, 사람이 알고 나면 그 짓 못 합니다.
내가 도둑질하는 게 잘못인지 알아버리면 이제 도둑질을 못 합니다.
그러면 하느님이 그때부터 너를 도둑질 안 시킵니다.
왜? 일꾼이 될 만한 놈이 아니라서.
그런 식으로 내가 세상에 악역을 한다는 것은, 그것도 이 세상에 필요해서 하는 것인데,
내가 질량에 그 주파수가 놓여서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절대로 상대를 탓하지 말고, 나하고 연관되었을 때 나를 보라.
그 자 벌은 잘못한 것이 맞다면, 하느님이 분명히 벌해 줄 테니까.
그것을 네가 옳다 그르다 하지 말고, 내가 어려운 일을 겪었다면,
왜 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는가를 너에게 돌아와서 너를 고쳐야 되지,
그래야 미래가 있는 것입니다. 안 그러면 미래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어떤 일을 하더라도 자부심을 가지고 하고,
그 안에서 내가 벗어날 때는 이것을 깨우치고 벗어나는 것입니다.
깨우치지 못하면 절대 못 벗어납니다.
도박을 깨우치지 못하면, 도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내가 술에서 깨우치지 못하면 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사랑을 깨우치지 못하면 사랑에서 못 벗어납니다.
그래서 사랑에 멍든 자가 됩니다. 나중에 피눈물 쏟는 자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어떤 환경이라도 나에게 공부 거리로 온 것이지,
이것을 남을 탓하라고 그 환경을 준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좀 크게 이제부터 풀어가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세대와 5060세대 간 융합의 길 (홍익인간 인성교육 12508강) (0) 2022.08.01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한 여건과 환경 (홍익인간 인성교육 12507강) (0) 2022.07.31 풍요에너지, 감정 기복 (홍익인간 인성교육 12499강) (0) 2022.07.29 보석 관련 업을 하고 있는데, 다른 일을 하고 싶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12498강) (0) 2022.07.28 충분한 갖춤의 방향 - 이념 (4-4) (홍익인간 인성교육 12494강) (0) 20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