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대를 아는 것과 품는 것 (홍익인간 인성교육 11235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6. 18. 11:14
정법강의 11235강 상대를 아무리 알아도 아는 만큼만 알지 다 아는 것은 없습니다.
죽을 때까지 한 이불 덮고 살아도 다 알지는 못 합니다.
안다고 생각하는 것이 착각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알아 가는 것만 해도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인연이 되는 것입니다.
상대를 품는다 하는데 품으려 하지 마십시오.
내가 갖춘 만큼 내 질량만큼 품어지는 것이지,
내가 품으려고 한 것은 억지로 한 것이어서 제자리로 돌아갑니다.
품은 사람이 내 뒤통수칩니다. 왜? 내가 억지로 품었으니까.
내가 노력을 해서 억지로 가까워진 사람은, 항상 내가 이 사람에게 당해서 멀어집니다.
왜? 억지로 한 것이기 때문에 제자리로 돌아가야 됩니다.
공부를 해도 들어오는 대로 받아들이면서 스스로 성장을 한 사람들은,
계속 성장을 하면서 안 떨어집니다.
억지로 열심히 한 사람은 했는데 제자리로 돌아옵니다.
억지로는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공부도 억지로 하려고 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나에게 지금 이 환경이 오니까 오는 만큼 받아들여서 가는 것이지,
내가 열심히 한다고 그것은 절대 실력이 안 올라갑니다.
열심히 해서 실력이 올라가는 것은 일반 지식입니다.
지식은 내가 시간을 더 들여하면 하나 더 외워집니다. 이것은 열심히 해서 올라가는 것입니다.
진리는 내 질량만큼 소화되지, 절대 열심히 한다고 해서 올라가지 않습니다.
이 대자연의 진리는 그렇게 우리에게 와닿아 흡수가 됩니다.
이 지식은 우리 영혼의 질을 키워주는 것입니다.
진리는 영혼의 질을 밀도 있게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컸다고 엉성한 것은 안 되고 그다음은 밀도를 만들어야 되는 것입니다.
밀도가 만들어지면 내공이 생깁니다.
지구가 밀도가 약하면 중력이 안 생깁니다. 행성이 밀도가 강해져야 중력이 생깁니다.
적당한 중력이 생겨야 하는데, 적당한 밀도가 생겼으니까,
이 지구는 굉장히 잘 빚은 것입니다. 적당한 중력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밀도가 너무 강해도 안 되는 것이고, 어느 정도 내 인생을 사는데 필요한 밀도를 가져야 합니다.
그러면 그만한 중력이 생기듯이 우리는 내공이 생겨서 거기서 지혜가 발휘되는 것입니다.
내공이 안 생기면 지혜가 안 나옵니다. 지혜가 나오면, 내공이 생기면,
어떤 환경을 접하기만 해도 여기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누구 말만 들어도 그 사람에 대해서 지금 무슨 말을 하는지 풀이가 다 됩니다.
그래서 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답이 생겨서 스스로 그 사람을 내가 돕고 있습니다.
이것이 지혜가 나오고 있는 것입니다.
그 사람은 어느 정도 기본적인 밀도가 찾고, 기본적인 내공이 생기고 있는 것입니다.
내공의 질은 다 다릅니다.
큰 일을 할 사람은 조금 큰 내공이 생겨야 되고,
조금 작은 일을 할 사람은 작은 내공이 생기면 됩니다.
내공도 욕심 낼 일이 아닙니다. 나에게 맞아야 됩니다.
내가 품는다는 것은 생각하지 마십시오.
품어야 된다는 것을 알기만 하면 되지, 내가 품지 마십시오.
자동으로 품어지게끔 형성이 됩니다. 내가 품으려 하는 것은 내 욕심입니다.
품는 것은 내가 품으려 한다고 품어지지 않게 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욕심입니다. 욕심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사람을 품는 것입니다.
이 사회를 품는 것이고, 인류를 품는 것이고, 우주를 품는 것입니다.
품는다가 무엇인가, 앞으로 이런 것들을 공부는 하겠지만,
사람을 함부로 품는다는 생각을 하지 말고, 관계성을 잘하고 있으면 됩니다.
그러면 내가 품어질 환경이 될 때는 저절로 풀어지고,
저잘로 그것의 형성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내가 지금 무언가 품어야 되지 않을 것을 품었다면,
조금의 정리를 하면서 조금 시간을 보내면 제자리 갑니다.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세 시대 - 80대 후반의 관리 (홍익인간 인성교육 5265강) (0) 2021.06.20 대북 제재 속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바른 대응 (홍익인간 인성교육 11238강) (0) 2021.06.19 정법가족과 혈육가족의 차이 (홍익인간 인성교육 11234강) (0) 2021.06.17 섭섭한 것을 담아 두었다가 나중에 따지는 베이비 부머 (홍익인간 인성교육 11233강) (0) 2021.06.16 개인의 행복, 국가의 행복 (홍익인간 인성교육 11228,9강) (0) 2021.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