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00세 시대 - 계층별 지식 키우는 법, 20대들의 바르게 사는 법칙 (홍익인간 인성교육 5256강)
    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6. 28. 12:44

     

    정법강의 5256강

    지금까지 우리가 돈 돈 돈 하면서 한 20년 살아왔습니다.

    과거에는 돈 돈 하면 사람 취급을 안 했습니다.

    언젠가부터 돈 돈 하면서 사는데, 돈 돈 하면서 살면 안 되는데 그렇게 사는 것입니다.

    옛날에 돈 돈 하면서 살아도 될 때는 돈 돈 안 하고,

    지금은 돈 돈 하면 안 되는 시대에 돈 돈 하면서 살아서 다 어려운 것입니다.

    우리가 먹고사는 데서 조금 벗어나면 그다음에는 우리가 질량 있는 공부를 하면서,

    성장을 해야 되기 때문에 윗사람하고 손을 잡아야 됩니다.

    그것이 중산층과 손잡고 내가 배워가며 성장하기 위해서,

    그런 집안 그런 곳에 내가 일을 하러 가면서 인연을 만나는 것입니다.

    그분들하고 인연을 잘하면서 내가 성장을 하면 이 사람도 중산층으로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중산층에서 기운을 못 받으면 중산층이 안 됩니다.

    중산층을 무시하고 나부터 크려고 한다면 나는 가도 또 떨어집니다.

    질서 없이 돈만 있으면 중산층이 되는 줄 알고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중산층은 품위가 중산층이어야 됩니다. 품위가 없이 중산층이 되면,

    네 것을 다 뺏기게 되어 있고, 또 바닥으로 떨어져 품위를 배워서 와야 됩니다.

    중산층을 경제적으로 쳐다보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과거에는 경제를 주는 시대였지만, 지금은 나의 품위를 보고 경제를 뺏는 시대입니다.

    이것이 후천 시대입니다. 후천 시대는 질서를 잡아가는 시대입니다.

    2013년부터는 후천 시대가 열렸는데, 이때부터는 가진 것도 품위가 부족하면 그만큼 걷습니다.

    상층의 사람들과 협조해 같이 풀어 나갈 때는 중산층 사람들이 상층 사람하고 손 잡는 것입니다.

    상층에서 하층 사람이 똑똑하다고 손을 잡고 가면 사고가 생기는 것입니다.

    대기업들도 지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람을 뽑는데 격식 없이 뽑은 것입니다.

    상층의 밑바닥은 중산층의 밑바닥과 손을 맞춰야 합니다.

    중산층의 상층은 상층의 제일 상층과 손을 잡아야,

    하나도 어려움 없이 세상 일이 다 풀리게 되어 있습니다.

    만일에 상층의 상층이 백성들하고 일을 해야 할 때는 백성 중의 상층과 손 잡고 일을 해야 합니다.

    집안에 사람을 들일 때나, 회사에 사람을 들일 때도 이런 것들이 전부 다 포함됩니다.

    사회에 살아 나가면서 같이 테이블에 앉아 논할 때라든지,

    같이 의논하고 연구할 때라든지 전부 다 이것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막 섞이면 잘못되어 그 잘못된 어려움은  너희들이 겪게 되어 있습니다.

    윗사람들이 다 겪어야 됩니다. 그래 놓고 요즘 아이들은 못 쓰겠다고 합니다.

    윗사람은 절대 아랫사람을 뭐라 그럴 일이 아닙니다.

    윗사람이 알아서 운용을 잘해야지, 윗사람이 운용의 법칙을 모르니까, 막 섞여서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아이를 키울 때 21세까지는 아이들을 바르게 성장시켜야 되는 것입니다.

    뭔가 우리가 할 일을 안 해 놨을 때, 30대부터 꼬여가는 인생이 사회에 표가 나는 것입니다.

    30대부터 꼬여서 잘못되는 것은 나라에 피해가 가고, 이 사회에 피해가 가고,

    이 피해 가는 것이 우리가 방치한 만큼 우리에게 다 돌아오는 것이,

    현재 이 대한민국이고, 인류에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20대는 어떻게 살아가는 법칙이 있냐 하면,

    어릴 때 부모 밑에서 성장을 하면서 잘 모르고 했든, 잘못 키운 것이 있고, 잘못 버릇이 든 것이 있고,

    이래서 청소년기를 잘못 성장을 해서 모순이 만들어지고, 버릇이 잘못 든 것이 있다면,

    이것을 고치는 공부를 하는 기간이 20대입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