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남 탓하기 급급한 직장 (홍익인간 인성교육 12360강)
    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6. 11. 11:35

     

    정법강의 12360강

    나 자신을 알라는 것은, 나 자신이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알라는 것입니다.

    지금 현재 나 자신이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알아야 됩니다.

    내 위치에서 엉뚱한 짓을 하면, 지금 내 위치에서 벗어나게끔 안 합니다. 누가? 하느님이, 자연에서.

    내 위치에서 나에게 주어진 것을 받아들일 줄 알아야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안 받아들여도 되는데, 나는 항상 그 위치에서 변함이 없습니다.

    대한민국의 총체적인 병이 무엇이냐 하면, 불평불만하는 것입니다.

    불평불만하면 어떻게 되냐? 0.1미리도 안 틀리게 너를 어려워지게 합니다.

    무조건 불평불만하는 사람은 대통령부터 거지까지 모두 다 어려워지게 합니다.

    이것은 두 가지 법칙이 없습니다. 자연의 법칙입니다. 이것이 대한민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불평불만하지 마라. 네 위치에서 겪을 수 있는 것을 겪는 것이지, 이것은 네가 불평불만하라고 하는 게 아니고,

    이것이 무엇인지를 네가 하나하나 받아들이고 공부하라고 오는 것입니다.

    상대가 내가 일하는데 같이 와서, 상대가 나를 좀 불편하게 합니다.

    이것을 공부하라고 불편하게 하는 것인데, 이것을 불평불만합니다. 해도 되는데 너는 조금 더 어려워집니다.

    여기서 불평불만 자꾸 하게 되면 떠나야 됩니다. 여기보다 환경이 조금 못한 데 분명히 갑니다.

    거기에서도 불평불만을 꾸준히 하면, 또 어디로 떠나야 됩니다.

    그 환경보다 조금은 더 어려운 데 갑니다. 무조건입니다. 더 좋은 곳에 절대 가게 안 해 줍니다.

    누가 꼬셔서 좋은 데라고 해도, 가 보니까, 조금 있어 보니까, 거기가 더 나았다고 합니다.

    무조건입니다. 왜? 하느님이 정확하게 이동수를 줍니다.

    불평불만하지 마라. 지금 너에게 최고 좋은 조건을 준 것이 자연입니다.

    내 환경에 맞게 줬습니다. 지금은 몰라도 받아들여야 됩니다.

    그래야 내가 받아들인 만큼 너를 키우는 것입니다. 그래서 더 좋은 환경에 보내줍니다.

    여기서 받아들인 만큼 더 좋은 환경에 보내주지, 여기서 불평불만하는 순간에 이것이 쌓입니다.

    쌓여서 떨어뜨리고, 또 쌓여서 떨어뜨립니다. 끝이 없습니다.

    어느 정도 다 내려가면 이제 여기서 사고 납니다. 불평불만할 때는 사고가 안 납니다.

    아파서 자빠지지는 않습니다. 불평불만하는 것이 쌓여서 사고가 납니다.

    사고가 나니 남 탓을 합니다. 그러면 아파서 자빠집니다. 병원을 가던지 그런 일이 일어납니다.

    자연에는 틀리게 운용하는 것이 0.1미리도 없습니다. 우리가 모르는 것입니다.

    우리는 어떤 위치에 갖다 놨을 때 절대 불평불만하면 안 됩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누구든지 그 병에 걸린 것입니다. 불평불만하고 자꾸 어려워져서 사고가 나고,

    사고가 나니까 남 탓을 하다가 너도 병원에 실려갑니다.

    자꾸 내려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다 어려워진 것입니다.

    불평불만을 해도 되는데, 내가 알고는 살아야 됩니다. 왜 어려워지는지.

    여기서 같이 지내려고 하면 불평불만하는 게 아니고, 여기 이러한 환경에 왔으니까,

    이것을 받아들일 줄 알아야 됩니다. 받아들이고 내가 100일 가고 1년 가고 하니까,

    내가 좋아집니다. 회복도 되고, 얼굴도 좋아지고, 어떤 일도 안 생기고, 자꾸 좋아집니다.

    이것이 좋아지는 시작입니다. 좋아지기 시작하면 좋아지는데, 어려워질 때는 끊임없이 어려워집니다.

    오늘 이 환경을 줬다는 것을 감사하고, 지금부터 나에게 주는 것을 조금씩 받아들이며 내 힘을 키워야 됩니다.

    이것이 내 인생입니다. 이것이 내 인생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욕심낸다고 잘 된다? 절대 안 됩니다. 여기에 오게 해 준 만큼입니다.

    다른 데는 또 거기에 간 만큼. 이것만 인식하고 있으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