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 빈곤 및 보건 문제의 해결책 (1-3)(홍익인간 인성교육 13221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4. 3. 18. 11:18
우리는 어른이 있어야 되는데, 노인이 있는 것입니다.
노인이라 그러면, 우리는 대접받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면 우리가 이름을 잘 정해야 되는데,
어른들이라고 할 수 있게끔 운용을 해야 되고, 이끌어 드려야 되는 것입니다.
이 사회에 어른들이 있으면 질서가 잡히고, 젊은 사람들이 안심이 됩니다.
그런데 이 나라는 어른이 없고 노인들만 있다고 하면, 이 나라 젊은이들이 전부 다 불안해지는 것입니다.
이 사회는 어른이 있고, 젊은이가 있고, 소년이 있어야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른이 없는 사회가 된다는 것은, 어른들이 할 일이 없다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어른이 할 일이 없어서 할 일을 안 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노인, 늙은이 소리를 듣는 것입니다.
우리가 어른들을 누구라 하느냐 하면, 베이비 부머들을 키워낸 마지막 분들이 어른들입니다.
73세 위의 분들이 어른들입니다. 이 사회의 어른들은 자기 할 일을 다 하신 분들입니다.
이제 홍익인간 지도자들에게 이 사회가 넘어오는 것입니다.
어른들은 홍익인간들이 아닙니다. 홍익인간들을 키워온 분들입니다.
이 사회가 발전하는 데는 그분들의 노력이 있었고, 그분들이 손발이 달도록 사회 일을 하신 분들입니다.
이분들이 열심히 일하고 이루어낸 세상에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분들을 우리가 모셔야 되는데, 이분들을 모실 수 있는 환경을 못 만드는 것입니다.
노인복지를 이야기하는데, 복지의 꽃이 뭐냐 하면, 내 할 일을 하는 것입니다.
내 할 일을 찾아서 할 수만 있다면, 복지는 걱정을 안 해도 되는 것입니다.
할 일이 있다는 것은, 내가 지금 인생을 사는데, 보람 있는 일을 하면 되는 것입니다.
할 일은 없이 뭔가를 도와준다고, 돈을 얼마 준다든지, 쌀을 준다든지 하면서 할 일은 안 줍니다.
이것은 복지가 아니고 동냥을 주는 것입니다. 어른들이 거지도 아니고 동냥을 준다는 것입니다.
이런 것을 바르게 풀지 않으면 복지는 영원히 안 됩니다. 이런 말들부터 정리를 해야 됩니다.
어른들의 복지를 이야기하려면, 어른들의 하실 일이 뭔가를 연구해야 됩니다.
어른들이 1급, 2급, 3급이 있습니다. 1급은 지금 연세가 많아도 할 일이 다릅니다.
2급이 할 일이 다르고, 3급이 할 일이 다릅니다. 왜 1,2,3급이 되냐?
지식을 갖춘 분들과, 덜 갖춘 분들과, 못 갖춘 분들이 있는 것입니다.
이 할 일을 찾아주면, 복지라는 소리가 안 나오는 것입니다. 할 일을 하시는 분들이고,
이 사회에 필요한 일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자동으로 그만한 뒷바라지를 해주는 경제가 들어가는 것이고,
삶이 윤택한 것이고, 삶에 보람이 있는 것입니다. 어른들은 삶의 보람을 이루어야 될 때입니다.
어른들이 삶에 보람이 일어나고, 어른들이 할 일을 하면, 이것이 복지사회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할 일을 못 찾아서 할 일이 없고, 나이는 늙어가고, 거기에 돈벌이는 안 되니까 돈을 얻어야 된다든지,
이렇게 되면 이것은 아무리 복지를 얘기해도 복지가 안 되는 것입니다.
인간은 할 일이 없는 게 미치는 것입니다. 자기 질에 맞는, 하고 싶은 일을 하게 해 줘야 되는 것입니다.
1급 어른들은 내가 못다 한 공부가 있으면, 왜? 사회를 위해 열심히 일하다 보니까 내 것을 못 했습니다.
그것을 공부하며 뭐를 하냐? 연구를 하는 것입니다. 지식인은 연구를 하는 것이 자기 할 일입니다.
2급은 1급이 연구하는데, 그 밑에서 연구하는 것입니다. 이것도 반 지식인입니다.
이런 것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드리고, 이런 것을 뒤에서 지원도 해 줘야 됩니다.
사회에서 이런 것을 할 때, 정부에서 돈을 다 대줘야 되느냐? 아닙니다.
지금은 정부가 돈 대주면, 세금만 더 걷어야 됩니다.
지금 이 사회가 운용이 잘못되는 것이 뭐냐 하면, 정부가 다 하려고 해서 운용이 잘못되는 것입니다.
정부는 밑의 기본적인 30%를 정부가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올라오면 어떻게 되냐?
기업들이 이런 것을 만져야 됩니다. 더 올라가면 재단들이 만져야 되는 것입니다.
기업과 재단들이 잘 나눠서 그러한 환경을 잘 짰을 때, 기획을 잘했을 때, 대한민국이 바르게 돌아갑니다.
그런데 지금 정부가 무엇을 할지 모르니까, 뭐든지 정부가 하려고 합니다.
이것은 어떻게 되느냐 하면, 독재가 됩니다.
정부 조직에서 하고자 하는 대로 우리가 따라가야 되는 독재가 된다는 말입니다.
세금은 우리가 내는데, 돈은 그 사람들이 쓰면서 저기들이 하는 대로 따라가야 되는 꼴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 이 사회가 멈추고 있는 것입니다. 멈추고 있으면 누가 힘쓰냐?
공무원이라든지 조직을 가지고 있는 데서 힘을 쓰고, 거기서 좌지우지하려고 들고,
자기들 생각에 안 맞으면 움직이지를 않고, 자기들 하는 대로 하면 움직여 주고, 이럽니다.
대한민국은 모든 조직을 만들어 놓은 상태입니다. 정부도 조직을 만들었고, 종단에도 조직을 만들었고,
사회의 기업에도 조직을 만들었고, 뭐든지 이 사회는 조직을 구성해서,
이 조직을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 우리는 복지도 되고, 엉망진창인 사회도 됩니다.
복지는 이제는 기업이 해야 됩니다. 사회복지는 기업이 해야 되는 것을 못 하고 있습니다.
왜? 그것을 누가 이끌어주지를 못 했습니다. 그러면 기업이 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기업이 사회복지를 만져서, 이 사회가 잘되면, 이 잘되는 것을 전부 다 정리를 해서,
책으로 나온다든지, 논문으로 나온다든지, 이런 것이 자꾸 만들어집니다.
이 대한민국에서 데이터가 만들어지고, 책이 만들어지고, 인류에 가르칠 수 있는 조건이 되면,
세계가 이리로 배우러 옵니다. 그러면 이 기업은 세계의 복지를 담당하게 되는 기업으로 바뀝니다.
여기에서 돈이 안 될까? 그 나라들이 복지를 우리에게 해 달라고 하면, 복지사업. 이것은 사업입니다.
기업은 사업이 아닙니다. 기업은 성장하는 것이고, 연구를 해서 바른 답을 찾았을 때,
이것을 가지고 사업을 하는 것입니다. 사업을 하면 어떻게 되냐?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는 것입니다.
기업은 성장하는 것이고, 기업이 사업을 할 때,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니, 어마어마한 경제가 일어납니다.
아직 그리로 못 올라섰다는 것입니다. 복지는 사업을 해야 되는 것이지, 빵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빵을 주고, 돈을 주고, 이런 것은, 우리가 답을 못 찾았으니까, 관리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복지사업이라고 그러고 있습니다. 인류가 지금 그러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지식인들이 사회를 만지는 것은 달라야 되지 않겠습니까?
없는 사람 보태준다고 복지라고 하면 됩니까? 네 삶을 찾아주는 게 복지입니다.
사람이 지구촌에 산다는 것은, 내가 사는 게 보람이 있게 살아야 됩니다.
내가 청소를 하더라도 보람이 있어야 되고, 커피를 한 잔 따라도 보람이 있어야 됩니다.
내가 경비를 서더라도, 내가 돈을 벌어서 먹고살려고 경비를 서면 안 되고, 보람이 있는 경비를 서야 됩니다.
먹고살기 위해서 경비를 하는 것은 비굴한 삶입니다.
먹고살기 위해서 네가 이 사람들을 지킬 수 있을 것 같습니까?
내가 경비를 해도 이 분들이 안전하게끔 연구를 하면서, 연구원들이 경비를 한다면 우리는 안전합니다.
청소를 하는 미화원들이 이 사회를 깨끗이 함으로써 사람들의 정신이 어떻게 되고,
이런 것을 연구하면서 우리가 청소를 담당하고 있으면, 이 사회가 맑아지고 깨끗해집니다.
먹고살려고 쓰레기를 치우고 빗자루를 든다? 이것은 비굴한 삶입니다.
이렇게 돈 벌려고 계속 살다 보니까, 나중에 내가 무엇을 할지도 모르겠고, 돈 벌려고 나가니까,
힘없다고 안 받아주고, 몸이 늙었다고 안 받아주고,
이러니까 돈이 안 벌리니까, 우리 좀 도와달라고 그러는 거 아닙니까?
교육이 없었던 것입니다.
2편에서 계속.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 빈곤 및 보건 문제의 해결책 (3-3)(홍익인간 인성교육 13223강) (0) 2024.03.20 노인 빈곤 및 보건 문제의 해결책(2-3)(홍익인간 인성교육 13222강) (4) 2024.03.19 인간의 영적 발달(4-4)(홍익인간 인성교육 13220강) (2) 2024.03.17 인간의 영적 발달 (3-4)(홍익인간 인성교육 13219강) (0) 2024.03.16 인간의 영적 발달(2-4)(홍익인간 인성교육 13218강) (1) 202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