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천명에 들어서며 - 50대가 살아야 하는 삶 (홍익인간 인성교육 4997강)
    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2. 21. 11:59

     

    전법강의 4997강

    50대가 되면 회사에서도 내보냅니다. 너 알아서 살라고 합니다.

    다 컸으면 내 할 일을 할 줄 알아야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30대에는 배우면서 자라는 것입니다.

    20대, 30대에 사회에 나오면 사회를 배워야 되는 것입니다.

    40대에도 배우는 사람이 있고, 시험 치는 사람이 있습니다.

    자연은 항상 우리에게 미션을 주어 시험을 칩니다. 그것이 인연법입니다.

    어떤 사람이 내가 성장할 나이가 됐는데, 이때 어떤 인연을 줍니다. 이때 이 사람은 우리가 잘 대하고,

    여기서 흡수가 되고 융합이 되어 좋은 일들이 일어나게 하면, 이것은 합격,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인연을 줬는데, 여기서 뭔가 부닥쳐서 잘 안 되면, 너는 공부를 잘못했기 때문에,

    실력이 모자라 이것을 처리를 못하고 부닥치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불합격이 되는 것입니다.

    또 어떤 사람은 잘해 보려다 당합니다. 인연을 주는데 인연에게 당하면 되나요.

    실력이 모자라서 당하는 것입니다. 이래서 불합격당하면, 네가 가지고 있는 힘을 조금 뺏어갑니다.

    부닥치고 말면 힘 있는 것은 안 뺏어가는데, 당하면 네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질량을 조금 뽑아 갑니다.

    이러면 내가 조금 낮아집니다. 이 사회 구조의 운행에 자연이 운행하는 원리를 알 때가 됐습니다.

    벌써 알았어야 되는데, 지금 아무도 모릅니다. 부닥치기만 해도 나는 상합니다.

    인연이 오면 흡수가 되고 융합이 돼서, 더 큰 힘을 쓰라고 주는 것입니다.

    실력이 모자라니 부닥치고, 실력이 모자라니 또 헤어집니다. 나는 매번 더 나은 힘을 못 가지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50대가 딱 되면 이제는 인연을 줘도, 그렇게 상생을 할 수 있는 인연을 주는데,

    실력이 모자라니까, 사람들과 융합이 안 됩니다.

    욕심이 들어간 삶을 살면 너는 지금부터 엄청나게 어렵습니다.

    지천명이 된 나이에 욕심을 내면 되나요? 이것이 인생 실패를 하는 것입니다.

    50대는 어떻게 살아야 되느냐? 사람을 이롭게 하면서 살아야 됩니다.

    내가 욕심을 내는 것이 아니고, 저 사람에게 필요하게 살아야 됩니다.

    우리 젊은이들에게도 필요하게 살아야 되고, 우리를 키워주며 희생하고 고생한 어른들에게도 덕 되게 살아야 됩니다.

    우리가 공부를 하고 질량을 갖출 동안에 희생을 한 백성들에게도 덕 되게 살아야 됩니다.

    도움 되는 삶만 살아야 됩니다. 이것을 찾아야 됩니다. 왜? 더 잘 살 수 있는 길이 없습니다.

    사람들에게 덕 되고 이로운 삶을 살아야 되는 게 지천명이 된 나이입니다.

    이 일을 찾는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에게 이롭게 살 수 있을까?

    그 사람들에게 필요한 삶이 될 수 있을까? 이런 것을 지금 찾아야 됩니다.

    못 찾았으면 지금이라도 찾아야 됩니다.

    내 욕심으로 내가 못 살아서 바둥거리면, 너는 지혜가 없어집니다.

    우리는 지식을 갖춘 이유가, 지식을 많이 갖추면 여기서 문리가 일어나 지혜가 나옵니다.

    그래서 지천명 되는 나이면 척 보면 아는 것입니다. 사람을 척 대하면 압니다.

    세상에 어떤 일도 척 보면 알아야 되는 것이 지천명 나이입니다.

    내가 욕심이 딱 생기면 안 보입니다. 지혜가 안 나옵니다. 지혜가 나오면 저 사람을 이롭게 해 줍니다.

    지혜라는 답은 나에게 수입을 주는 것이 아니고, 저 사람을 이롭게 합니다. 이롭게 하면 저 사람은 나를 못 떠납니다.

    내가 저 사람을 진정 이롭게 했다면, 저 사람은 나를 떠날 수 없는 것이 인간의 구조입니다.

    이롭게 하지 못하고, 내 욕심이 들어가 산 것이라면, 이것이 답이든 아니든 내 곁을 떠나고 나를 좋아 안 합니다.

    그거고 여기서 견주어 봅니다. 사람이 다가오지 않고 멀리서 견주어 봅니다.

    나에게 이롭게 안 하고 자기 욕심을 내면 사람이 떠납니다. 이것이 자연이 운행하는 법칙입니다.

    대학을 다닐 정도면 이런 공부는 기본으로 했어야 되는데 못 가르쳤습니다.

    50대가 되면 사람을 이롭게 해야 되는데, 사람이 이롭게 되는 방법은 가르치는 것입니다.

    돈을 주는 것이 아니고, 물질을 주는 것이 아닙니다.

    과거에 우리가 모자랄 때 생각은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이, 배고픈 사람 밥 주고, 추운 사람 옷 주면 되는 줄 알았습니다.

    지금은 옷 다 있고 밥 다 있습니다. 이제 어떻게 할래?

    옷이 없으면 나라에서 줍니다. 밥이 없으면 나라에서 쌀을 줍니다.

    내가 주면 나라에서 그 사람에게 안 줍니다. 봉사하러 간다고 합니다.

    연탄도 주고, 김치 담아 주고, 거들어 주고, 이것을 봉사한다고 합니다.

    이것을 봉사라고 생각하면 큰일 나는 것입니다. 이것은 내가 공부하러 가는 것입니다.

    왜 공부를 시킬까요? 네가 아직 세상을 모르니까.

    죄인들에게 사회봉사 명령을 합니다. 죄인들이 죄를 지으면 교도소를 살지 않고 벌을 조금 기회를 주는 것이,

    일부는 이 봉사를 할 수 있도록 명령제도를 해서 이것을 처벌합니다. 죄인에게 한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도 봉사하러 가는데 죄인들이 똑같은 것을 하러 갑니다.

    우리는 자진 출두를 했고, 저 양반들은 재판을 해서 그것을 시킨 것입니다.

    사회봉사명령 제도는 너를 그냥 교도소에 넣어 놓느니, 사회를 더 점검을 하고,

    사회의 아픔이 왜 있는가를 교육시키러 내보낸 것입니다.

    우리가 그냥 갔어도 우리가 뭔가를 찾고 배우라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봉사했다고 합니다. 나는 떳떳한 일을 한 것 마냥 합니다.

    그러고 있으면 나중에 50대가 돼서 다 얻어터집니다. 피눈물 흘려야 됩니다.

    남을 도운 것이 아니면서, 내가 공부하라고 보냈더니, 내가 남 도왔다고 생각을 하고 있으니까,

    그것이 아니라고 두들겨 패서 깨우는 것입니다. 큰일 납니다. 아 하고 어 하고 다릅니다.

    그래서 50대가 돼서 설움을 당하기 시작하고, 이상한 일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리고 50대가 되니까 또 사회를 위해서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라고 하니까,

    연탄을 더 들고 가려고 하고, 지금 이러고 있습니다. 큰일 나는 것입니다.

    나는 갈 길을 모르고 있다면, 우리 후배들은 나처럼 갈 길을 모르고 살게 하면 안 된다 라는 것입니다.

    이런 것을 조금이라도 우리가 교육이 되고, 공부가 되고, 자기가 모르는 것을 알게 가르쳐 줘야 됩니다.

    어른이 왜 어른이냐? 가르칠 수 있기 때문에 어른으로 대접받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왜 아이들이냐? 배우고 있으니까 아이들입니다.

    어른은 가르쳐야 어른이고, 아이들은 어른에게 잘 배워서 고마워하는 것입니다.

    50이 되면 어른이 됐다는 소리인데, 어른은 가르쳐야 됩니다.

    무엇을? 젊은이들이 필요한 것을.

    이 사회에 소외된 사람이 더 필요한 것을 가르쳐야 됩니다. 이것만이 사회봉사가 됩니다.

    어른이 되고, 어느 정도 갖춘 사람이 가르치는 것이고, 봉사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봉사는 30대가 봉사하는 것이 아닙니다. 20대가 봉사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20대는 배워야 됩니다. 배우는 데는 그늘진 곳에 가서 삶도 보면서 배워야 되고, 그런 환경을 준 것입니다.

    이것을 봉사활동을 했다고 좋다고 하는데, 그러면 너는 놀며 함부로 시간을 보내 가지고,

    나중에 이것을 잘못 착각을 해서, 이것이 바르게 사는 것이라 고착을 시켜버리면, 네 인생의 미래는 없습니다.

    새로운 패러다임을 연구할 것을 묻어버린 것이 되어서,

    이 세상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 연구해서 우리가 열어야 되는데, 이것을 지금 못 찾고 있는 것입니다.

    왜?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이, 남 어려운 것을 손 발이 돼 주고, 음식을 갖다 주는 것으로 고착을 시켜,

    상식을 만들어 이것을 답으로 알고 있으니, 답을 찾을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을 깨야 답이 나오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