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리를 수호한다는 것과 이익을 옹호하는 것은 같은 뜻인가? (홍익익간 인성교육 12546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8. 15. 11:21
정법강의 12546강 권리를 내가 수호한다고 들면 이익을 옹호하는 것과 똑같은 것입니다.
권리는 주어지는 것이지, 내가 수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권리를 내가 수호하면, 이것은 내 욕심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이익, 이런 것들을 내가 쟁취하는 것하고 같이 맞물고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권리를 수호한다 라는 그 자체부터 이것은 억지입니다.
권리를 수호한다는 것은 내가 이것을 안 놓겠다는 것이고,
이런 것들은 욕심이 들어간 것이고, 여기에 수반되는 것들이 전부 다 연결되는 것입니다.
권리는 주어지는 것이지, 주어지는 것을 내가 활동범위 안에서 내가 쓸 수밖에 없는 것이지,
권리는 수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선천 시대에는 권리를 수호한 것입니다.
후천 시대에는 권리를 수호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정에서는 권리를 수호하는 게 아니고, 권리가 주어지면 내가 행함입니다.
백성들이 걷을 때는 내놔야 되고 수호하면 안 됩니다.
권리가 주어지는 것은 실력으로 주어지는 것이고,
수호한다는 것은 내가 억지로 붙들려하는 것이고, 내가 이익을 가지려 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선천과 후천이 다른 것인데, 지금까지 우리는 그런 것들을 쟁취하려 들었다면,
이제는 우리가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줬을 때 그것을 행함이지,
그것을 쟁취하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끝난 시대에 쟁취를 하면 어떻게 되냐?
쟁취를 하게 된 네 인생이 끝나고 추락합니다.
나에게 그런 권리를 줬을 때 이것을 바르게 행하는 사람은,
이제 인생이 빛나고, 내 시대가 열리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내 자리에서 안 내려놓으려 하는 것이 쟁취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전부 다 그 자리에서 내려올 수밖에 없게 자연이 만들고,
사회가 만들고, 모든 백성들이 만들기 때문에 너는 분명히 내려오게 되어 있고,
그때는 지금까지 내가 노력한 모든 것들이 수포로 돌아갑니다.
영점으로 돌아갑니다.
이 시대가 지금 시작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과거에는 쟁취라는 것밖에 없었기 때문에 쟁취이고,
지금 이제 앞으로 미래는 쟁취라는 것은 용어 자체가 잘못된 삶을 가져가는 것입니다.
쟁취는 놔라. 미래는 쟁취를 놔야 된다는 것입니다.
나에게 주어진 환경을 그것을 받아서 잘 활동을 하면 그만이지,
나에게 그런 환경이 주어지지 않는 것을 내가 붙들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엄청나게 힘든 삶이 시작되고, 내가 지금까지 윤회하면서 일어났던 모든 환경도,
전부 다 땅바닥으로 내려앉습니다.
이런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이야기하기도 힘든,
지금까지 살았던 것과 다른 것이기 때문에, 이제 선 후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앞으로 미래는 후를 사는 것이고, 지금까지는 선을 산 것이고, 이것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이런 것들의 의미를 잘 새겨 볼만하고, 우리가 앞으로 이런 것들을 잘 잡아가야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리 - 저마다 시작이 다른 평등의 조건 (홍익인간 인성교육 12549강) (0) 2022.08.17 홍익행에 동참하고 싶은 간호사 (홍익인간 인성교육 4648강) (0) 2022.08.16 노동을 덜 하는 게 더 잘 사는 것인가? (홍익인간 인성교육 12545강) (0) 2022.08.14 무의식 - 영혼의 질량이 커지는 것 VS 깨끗해지는 것 (홍익인간 인성교육 12543강) (0) 2022.08.13 스승님도 재채기를 하시는지 (홍익인간 인성교육4649강) (0) 20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