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에게 냉정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1-2) (홍익인간 인성교육 12737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 25. 11:25
정법강의 12737강 이 공부를 앞으로 많이 할 텐데,
우리가 어려서 자랄 때는 3단계로 해서 기본을 성장시킵니다. 3 * 7은 21, 3단계입니다.
7세까지는 100% 부모님이 우리를 책임지고 이끌고 갑니다.
7세가 지나고 13세까지는 이 자식들이 내 자식에서 벗어나고 있는 중입니다.
30%를 존중하면서 키워야 됩니다. 나는 자연의 법칙을 분명히 알려주는데,
나는 그렇게 못하겠다면 안 해도 됩니다. 그 아픔은 정확하게 나에게 돌아옵니다.
그 존중이 어떤 것들이냐? 나 혼자 결정한 대로 끌고 가지 마라.
어떤 것을 결정할 때는 자식에게 물어서, 이렇게 하고자 하는데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의논해서 반영을 해야 됩니다. 다 그렇게 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30%는 반영을 해서 이 자식을 이끌어주고 뒷받침을 해 줘야 됩니다.
14세가 지나고 나면, 70%를 반영을 해야 됩니다.
안 해도 되는데, 내가 사는 동안에 그 아픔을 다 겪을 것입니다.
나에게 아픔이 온다는 것은, 자식이 실패해서 아픔이 나에게 오는 것입니다.
바르게 못 키운 죄가 그만큼 무섭다는 것을 알아야 됩니다.
자식을 뭐라 할 일은 없습니다. 내가 바르게 키우지 못해서 나에게 아픔이 오는 것입니다.
21세까지는 70%를 존중해 줘야 되면서 이끌어야 됩니다.
21세가 되면 성인이 됩니다.
22세부터는 100% 존중해야 됩니다.
존엄성을 존중해 주고, 네 의견과 뜻을 나는 존중해야 됩니다.
그 속에서 우리가 같이 풀어가는, 이런 것들을 내가 놓아줘야 되는 것입니다.
끌어안지 마라. 네 자식이 아니고 자연의 자식이다. 너는 의무를 행하는 것이다.
우리는 인연을 만나서 의무를 행하기 위해서 만나는 게 있고,
우리가 노력을 해서 의무에 더 넘치게끔 그 사람을 위해서 사는 게 있는 것입니다.
그만큼 의무에 벗어나게끔 내가 잘한 게 있다면, 그 복은 너에게 다 돌아옵니다.
무조건입니다. 자연은 그렇게 운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의무를 했는데, 거기서 더 이상 네가 살아가는 데에 더 아주 질 좋게 가게끔 뒷바라지했다면,
그 복은 나에게 다 돌아옵니다.
나에게 복이 돌아올 때는 내 자식이 너무 좋아서, 즐거워서 오게 돼 있습니다.
자식이 즐거우면 그 복 내가 받습니다. 내가 즐겁게 돼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이 자연의 운행법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30세가 될 때까지 20대에는, 우리가 키우면서 잘못 키운 것도 있고,
버릇을 잘못 들인 것도 있고, 이런 것들을 전부 다 잡아가는 시간입니다.
서로가 의논해 가면서, 이런 것들을 최대한 잡아내야 됩니다.
100% 잡아내야 된다? 그런 법칙은 세상에 없습니다.
최대한 노력을 하면 70% 잡힙니다. 나머지는 스스로 운행되게 돼 있습니다. 그것이 자연법입니다.
무엇이든지 100% 노력했다는 것은, 우리가 70%를 이루었다는 소리를 하는 것입니다.
그다음은 자연이 다 해 줍니다. 왜? 우리는 자연의 자식들이니까,
자연이 해 주는 몫이 있습니다. 그것이 30%입니다.
그러면 30대가 되면, 20대를 마무리하는 것이, 내 버릇이 나쁜 것을 잡아줄 때는 거래도 좀 하고,
그래서 20대는 아직까지 부모를 떠나지 못하게끔 만듭니다.
그런 것을 잡아야 되는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런 것들을 거래도 하고,
뭔가 결제가 필요할 때 주는 것도, 버릇을 조금 고치는데, 그것을 조금 지혜롭게 해 가면서,
물질을 주고, 이래야 되지, 그냥 어렵다고 물질을 주면,
이제는 이 자식을 걷잡을 수 없이 어려운 앞으로 내몰게 되어 있습니다.
경제를 어렵게 할 때는 어려운 이유를 분명히 찾아야 됩니다.
찾아 성장할 때 그것이 나중에 이 사회를 살면서 다 도움이 됩니다.
인성교육이라는 것은, 지금 이 시대에 바르게 사는 법칙을 아는 것이 인성교육입니다.
나의 질량을 알고, 그 질량의 크기를 알고, 거기에 맞게끔 나를 교육시켜 주는 것,
그렇게 해서 이 사회를 살 때는, 아주 재미있고, 즐겁고, 훌륭하게 살면서,
존경받으며 살게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누가 말했던가요?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새빨간 소리 하지 마십시오.
천지도 모르는 것들이 함부로 말을 만들어서 전부 다 정신을 흩어놓는 그런 짓은 안 하는 것입니다.
청춘이 왜 아파야 됩니까? 재미있어야 되고, 즐거워야 됩니다.
세상을 쳐다보면 아주 희망적으로 쳐다보고 살게 해 줘야 되는 것이지, 청춘이 아프면 됩니까?
가르칠 사람이 못 가르쳐서, 그것을 옆으로 빗대어서, 아프니까 청춘이다 합니다.
잘 배웠다 이놈들. 우리 아이들이 아프면 내가 골병이 들고 내가 아픕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실패한 사람 위로는 될지 모르지만,
실패한 것은 나에게 한 번의 낙인이 찍히는 것입니다.
잘못 성장을 했으니까 실패를 한다. 새로 공부하거라. 이런 것들을 이제 바르게 찾아가야 됩니다.
그것은 이 사회에 공부를 시켜줄 사람이 없어서 그런 것입니다.
30대가 되면 이제는 우리 부모님도 나를 위해서 할 일은 다 한 것입니다.
나는 부모님 곁에서 얻을 것을 다 얻은 시간이고, 만일에 여기서 다 얻지 못했어도,
이제부터는 네가 스스로 성장해야 되고, 스스로 이 사회를 펼쳐나가야 됩니다.
그렇게 해야만 모자라는 것도 사회가 줄 것이고, 사회의 인연들을 30대에 줄 텐데,
이것은 전부 다 너를 위해서 주는 시간입니다.
사회교육, 사회공부, 이런 것들은 이제부터 멘토들을 만나서,
사회 선배들이 전부 다 멘토입니다. 멘토 교육을 받는 것입니다.
멘토가 내 앞에서 잘난 척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이것도 내가 받아들여서 공부로 삼아야 되는 것입니다.
나에게 주는 인연은 0.1미리도 틀리지 않게끔, 네가 필요한 것들을 다 줍니다.
인연도 주고 환경도 주는데, 그것을 잘 소화하면서, 자꾸 공부로 받아들이며 축적을 해 나갈 때,
그럴 때 30대 우리가 스스로 해야 되는 사회교육을 받는 것입니다.
부모에게 의지하지 마라. 지금 의지하는 것은 앞으로 너에게 큰 시련이 옵니다.
이것은 자연의 법칙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부모에게 의지 받을 수밖에 없게 살았다면, 그때는 부모님에게 지금부터는 빚을 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꼭 갚고, 이것은 없었던 일로 하면, 네 인생이 큰일 납니다.
이제는 사회의 어른들과, 우리 부모님도 사회의 어른으로 보고, 내가 거기에 도움을 받아서,
조금 힘을 빌렸다면, 이것은 빌린 것이니, 그분을 분명히 즐겁게 해 드려야 되는 것입니다.
내가 도움을 받아서 열심히 노력을 해서, 나중에 감사합니다. 하고 찾아갈 줄 아는,
그것을 갚으면서 감사합니다 하고, 선물이라도 사갈 줄 아는,
그렇게 해서 그분에게 내가 즐거움을 드려야 됩니다.
30대에는 절대 부모님에게 도움 받지 마십시오. 도움을 받아야 된다면, 이것은 도움이 아니고,
이것은 내가 조금 힘을 빌려 쓰는 것이니까, 이것을 절대 무산시키지 마십시오.
은행에 돈 빌려도 갚아야 되듯이, 부모님에게 그 경제를 빌려도 분명히 이것을 갚으면서,
나중에 이자는 소고기 한 근을 사 들고 가도 되고, 과일 한 꾸러미 가지고 가도 됩니다.
그러며 감사합니다 하는 이 말이, 그 부모님에게도, 사회 어른들에게도 큰 힘을 실어주는 것입니다.
이 어른들을 즐겁게 하면, 어른들에게 아주 엄청난 힘이 만들어집니다.
내가 그것을 보면서 또 에너지를 얻었을 때, 앞이 보이는 것입니다.
어른을 찾아뵐 때는, 감사합니다 할 줄 알 때, 또 찾아뵙는 것입니다.
내가 힘들고 이럴 때는 어른 찾아뵙는 게 아닙니다.
어른이 낙심하게 하지 마십시오. 내가 힘들 때는 내가 이겨내십시오.
그런 불굴의 정신을 가져야 네 앞 길이 열립니다.
20대까지 노력해 준 게 다입니다.
30대에는 절대로 부모에게 기대지 마십시오.
같이 살 수밖에 없고, 힘을 빌릴 수밖에 없다면, 그것은 분명히 갚으면서 부모님을 즐겁게 하십시오.
이것이 홍익인간들의 미래를 열어가는 것입니다.
내가 내 힘을 갖추어야만 그래야 이 사회에 큰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내 힘은 경제를 갖춘다고 내 힘이 아닙니다.
내가 질량을 갖추어서 이 사회에 필요한 사람이 되어라.
그러면 어떤 일이 일어나냐? 나에게 많은 사람들이 인연으로 닿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나는 돈이 하나도 없다고 합니다.
내 인연들을 그만큼 줬는데, 네가 돈이 없다는 소리가 말이 되냐?
내 인연들이 가지고 있는 돈이, 수심 억, 수백 억 있습니다.
이 경제라는 것을 다 준 것입니다. 인연을 줄 때는 그냥 사람만 준 게 아니고,
거기에 있는 질량의 에너지까지 나에게 다 준 것입니다.
얼마나 부자인데 나는 한 푼도 없다고 합니까?
너에게 준 사람은 꾸어다 놓은 보리자루냐? 너에게 인연을 준 게 빗자루냐는 말입니다.
얼마나 귀한 분을 줬는데, 그분들의 아주 지적인 능력과 지적인 활동을 하면서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와,
이런 것들을 너에게 인연주며 다 준 것입니다.
그것을 바르게 운용을 해서 쓰지 못하는 너는 등신 같은 사람입니다.
경제라는 힘은 사람으로 해서 너에게 주는 것이지, 돈을 너에게 줬다고 경제라고 생각하지 마라.
이것은 언제든지 뺏길 수 있습니다.
나에게 사람을 줄 때는 그분들을 잘 운용을 하고, 그분들 하고 잘 관계를 해서, 그분들이 가지고 있는 힘을,
내가 써낼 수 있을 때, 쓰는 만큼 나는 부자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우리 젊은이들은 의지하려고 드는 버릇을 버리십시오. 모르면 배우십시오.
내 옆의 한 사람의 인연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배우십시오.
인연들을 서로가 존중할 때, 그 힘을 배로 쓸 수 있습니다. 스스로 힘이 되어 나를 살려냅니다.
이런 것을 가르치지 못했다면, 정법으로 배우십시오. 두 가지 방법이 없습니다.
우리는 아주 질량 있는 교육을 받음으로써, 내 질량이 좋아져서 세상이 눈 뜨고 보이는 것입니다.
금방 나에게 돈 준다고 해서, 그것이 재물이라고, 재산이라는 생각하지 마십시오.
사람 한 사람 한 사람이 나의 재산입니다.
내가 그 사람들에게 필요한 사람으로 내가 갖추어서 그 사람에게 돋보이는 것이고,
그렇게 할 때 그분이 나를 또 가지는 재산이 됩니다.
우리 민족은 하나고, 다 성장해서 인류를 품으려고 성장한 것입니다.
나약해서는 그렇게 안 되는 것입니다. 앞으로 그런 사업이 벌어질 텐데,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는 사업이 이제부터 벌어질 텐데,
그런 나약한 생각으로 접근하지 마십시오.
우리는 인류의 지도자로서 키우는 사람들입니다.
우리 젊은이들은 희망을 버리지 말고, 이제 기회의 시간이 오니까,
모르면 배우십시오. 길 다 열어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해하는 앎 vs 설명하는 앎 (홍익인간 인성교육 12739강) (0) 2023.01.27 가족에게 냉정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2-2) (홍익인간 인성교육 12736강) (0) 2023.01.26 환경미화원의 공부 (홍익인간 인성교육 4421강) (0) 2023.01.24 연구 책임자의 자세 (홍익인간 인성교육 4423강) (0) 2023.01.23 5급 공무원 시험 준비 (홍익인간 인성교육 4424강) (1) 2023.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