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년층이 느끼는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려면 (홍익인간 인성교육12854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4. 16. 11:20
정법강의 12854강 우리는 왜 죽음에 대해 두려운가?
내 할 일을 안 하고 죽으려 하니까. 이것이 답입니다.
사람이 이 지구촌에 육신을 가지고 태어났을 때는, 내가 할 일을 하고 가야 됩니다.
그러려고 이 육신을 받아, 이 시간을 우리에게 준 것입니다.
그런데 바르게 살지를 못 하고 죽을 때가 다 돼 가는데, 우리가 밥 먹고 배우고는 했는데,
할 일을 못 했다. 할 일을 못 했는데 죽어야 된다? 이것이 겁나는 것입니다.
50대가 돼서 죽음을 생각하고 겁을 낸다는 것은, 잘못 판단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 이 시대는 우리가 백세 시대라고 합니다.
홍익인간들이 태어나서 성장을 하면, 이 사람들이 왜 백세 인생을 사느냐?
원래 우리 선조님들은 육십갑자를 살았습니다.
왜? 자식을 낳고 보존할 수 있도록 내가 기본만 해 주고,
나는 떠나고 다시 윤회하면 되니까, 인생을 받아서 또 오면 되는데,
지금 우리 홍익인간들로 태어난 사람들은 누구라고 지칭을 하느냐?
이차 대전 이후로 태어난 사람들이라고 지칭을 합니다.
지금 용띠 베이비 부머들부터, 이제는 백 년 인생을 줬는데,
백 년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되는지, 이런 것을 정리를 안 했습니다.
10대는 어떻게 성장을 하고, 20대는 어떻게 성장을 하고,
30대는 어떻게 성장을 하고, 40대, 50대는 어떻게 살아야 되는지 이런 것들을 모른다는 것입니다.
지금 백 년 인생의 홍익인간들의 삶은 30대까지는 완전 성장기입니다.
사회도, 학교도, 제도권 학교도 학교입니다. 제도권은 1차 학교입니다.
사회에 나와서 배우는 것은 2차적인 학교, 사회학교입니다.
기업에 들어가서 배우든, 사회에 접근을 하든, 전부 다 학교라는 것입니다.
내가 성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전부 다 맞이하게 돼 있습니다.
인연도 그렇게 맞이하고, 어떤 일자리도 그렇게 맞이하고, 모든 것이 네가 배울 수 있는 환경을 준 것이지,
너에게 재산을 주지 않았습니다. 이 대한민국의 국민은 그렇게 주지 않았습니다.
배울 수 있는 환경을 주고, 뭐든지 내가 갖춤을 하는데 필요하게끔 주는 게 30대까지입니다.
40대는 시험을 칩니다. 30대까지 준 환경, 사회가 너를 조금 실수를 해도 용서해 주고,
조금 봐주고 잘 대해줬던 것이 실수도 공부입니다.
40대가 되면 아주 찬바람이 들어옵니다. 40대 인연으로 오는 것은, 시험지로 인연이 오는 것입니다.
시험으로 와서 내가 그 사람을 바르게 대하지 못하고, 그 환경을 바르게 대하지 못하면,
네가 가지고 있는 것을 다 뺏기기 시작합니다.
30대까지 욕심내서 재물을 가지고 있다면 40대에 다 걷어갑니다.
40대에 인연들이 와서, 환경이 와서, 이것을 시험을 쳐서 합격, 이렇게 되면,
나에게 엄청나게 많은 길을 열어줍니다. 그렇게 해서 50대부터, 너의 인생을 사는 것입니다.
50대에 너의 인생을 살 것을 40대에 주고, 50대에 너의 인생을 살게끔 네가 안 갖춰 놨다면,
네가 가진 것 싹 뺏어버립니다. 우리 홍익인간들은 인생을 50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
50대 돼 갖고, 이제 살기가 어렵다고, 전부 다 막막해하고, 죽을 것을 걱정하는 것은,
50대에 돼서 길이 안 열리니까 그런 것이지, 길이 열렸다면 그래도 네가 죽음을 두려워할 것이냐?
우리가 성장을 해서 50대가 돼서도 죽음을 걱정한다는 것은, 네가 갖춤을 못 갖춰서,
하늘에서 너에게 일을 안 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억지로 일 찾아서 하려고 하니까,
노동일 아니면, 아주 질 약한 일을 해야 하니까, 이제 겁이 나는 것입니다.
무엇 때문에 겁이 나는지는 모르지만 이것은 시그널이 오는 것입니다.
옛날 몇천 년 전에는, 그러면 지옥 간다 이러면 됐는데, 지금은 지옥이 없어졌습니다.
왜? 너무 똑똑하면 지옥 못 갑니다. 지옥은 없고, 이제 내 인생을 마치고 나면 뭘 해야 될지도 모릅니다.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내가 30대까지 내가 공부를 하는데 힘썼다면,
정확하게 40대가 되면, 50대 인생을 잘 살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마의 40이라고 합니다. 40이 최고 어려운 것입니다. 왜? 네가 공부가 안 됐다면,
오는 것마다 너에게 맞게끔, 네 사주에 맞게끔, 이런 환경들이 오는데 처리를 못하면, 여기에서 전부 결정이 납니다.
네 사주에 맞게, 상층으로 태어났으면, 상층 일을 할 수 있는가? 이것을 봅니다.
하층으로 태어났으면 하층에 네 인생을 거기에 풀어서 살 수 있는가? 이것을 시험 칩니다.
이것을 안 갖추고 재물에 욕심을 냈다면, 이 재물이 없어져야 됩니다.
그래야 다른 짓을 안 합니다. 사고를 안 치고, 그래서 재물을 다 걷습니다.
40대에 우리가 어떤 시험을 받느냐가, 앞으로 미래에 아주 어른으로서,
진짜로 세상에 필요한 사람으로서 내가 활동을 하고 갈 것이냐?
내가 못 갖추었으면, 정확하게 나에게 있는 재물이고 인연을 다 걷어야 되는 것입니다.
그래야 사고를 안 쳐서, 세상을 어지럽게 못 하는 것입니다.
실력 없는 사람들이 왜 만집니까? 그러면 우리는 앞으로 어쩌란 말입니까? 공부하세요.
내가 실력이 없어서 그만한 것을 안 주면, 나는 지금부터 공부하십시오.
공부는 스승님이 다 가르쳐줄 테니까, 스승님이 가르쳐주는 게 정법강의라고 세상에 엄청 내놨습니다.
3년만 딱 들으십시오. 누구든지 살 길 다 열릴 테니까. 왜? 내가 몰라서 못 사는 것입니다.
알면 내 살 길 다 살 수 있습니다. 살 길 어려운데 공부밖에 할 게 더 있습니까?
살기 어려운데 날뛰면 더 어렵습니다. 공부하십시오.
우리가 죽기 전에 마지막에라도 알고 죽으면 편안하게 죽습니다.
모르고 죽으면 미치고 팔딱 뛰다가 죽습니다.
그러면 차원계에 가서 어떤 신이 될 것인가? 귀신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갈 때도 정리를 하고 가야 되고, 우리가 살 때도 정리를 해서 살기 때문에,
그것이 인생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홍익인간 인생은 아주 즐겁고 행복하게 살 수도 있고,
아주 힘들게 살다가 마무리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지금 이 지구촌에 이차 대전 이후로 태어난 사람들이 홍익인간들입니다.
대한민국에 태어난 사람들은 홍익인간 지도자들로 태어난 사람들입니다.
이 사람들의 30%는 인간 육신을 받아서 지구에 다시는 못 옵니다. 마지막 일생이라고 얘기합니다.
30%는 한 번 더 윤회해서 올 수 있기 때문에, 다음 생을 내다보고 지금 잘 살아가는 방법도 괜찮습니다.
그런데 40%는 두 번 더 윤회해서 올 수 있는 사람들이어서 내가 지금은 큰 일을 못 하지만,
열심히 내가 할 일을 하고 떠나면, 다음에 이런 것들이 잘 된 세상에 내가 또 윤회하여 올 수 있으니까,
그때 높은 신분으로, 좋은 환경으로 올 수 있으니까, 내 죽음을 겁내지 마라.
마지막 인생을 사는 사람들은, 내 마지막 인생은 지금까지 수천 년, 수만 년 동안 노력을 했던,
이런 것들을 다 압축해서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고, 내 자신의 남은 시간을 불태우고 가서,
아주 깨끗한 영혼으로 해서 천상에 오르게 돼 있다. 이것이 홍익인간 지도자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이제는 이런 공부를 해야 되고, 알아야 됩니다. 모르면 안 됩니다.
그래서 자연의, 인간의 공부, 인간들이 같이 어울려 사는 이유,
우리는 같이 살아가는 시대를, 이차 대전 이후로 열고 있습니다.
모두가 같이 살아가는 시대를 열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것을 한 땀 한 땀 공부를 해 보면,
우리가 진짜로 할 것을 못 했구나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일을 하기 위해 이 터에 왔는데 (1/4)(홍익인간 인성교육 12857강) (0) 2023.04.18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을 만나려면 (홍익인간 인성교육 12856강) (0) 2023.04.17 젊은이들이 삶을 재미있게 살려면 (홍익인간 인성교육 12853강) (0) 2023.04.15 부부 소통과 내조 - 행복한 인생과 보람 (홍익인간 인성교육 4346강) (2) 2023.04.14 성격은 타고 나는 것인지, 환경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인지 (홍익인간 인성교육 12852강) (0) 202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