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의 경영 철학(1-4)(홍익인간 인성교육 13132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2. 18. 11:38
https://youtu.be/37heXCK95ok?si=FkJ0zEbnwSXbgguF
우리 대한민국의 기업은 50년 동안 발전을 했습니다.
대한민국이 시작해서 70년인데, 20년은 밑에서 우왕좌왕하면서 성장을 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기업의 시대가 온 게 50년이 됩니다. 50년 동안 무엇을 했느냐?
이 근본적인 것을 정리를 좀 해야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기업을 하는데 큰 기업만 이야기하는 게 아니고,
중간 기업, 소 기업 전부 다 무엇이 기업인지 정리된 게 없습니다.
철학을 논하자면 최고 기업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중간에서 대기업으로 가기 위해서는 자기 철학을 꺼내야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중간 가기 전까지는 아직 자기 철학이 없는 것입니다. 사회를 배우는 것이고,
사회를 살피고 사회를 알기 위해서 가는 중이라, 그렇게 하고 나서 철학이 나오기 시작하면,
이제 진짜로 중간으로 가는 것이고, 중간에서 한 번씩 철학이 바뀌기도 합니다.
왜? 시작의 철학은 작았고, 조금 커지다 보니까 철학이 바뀌는 것입니다.
여기서 조금 더 크면, 30%에서의 철학이 있고 70%에서의 철학이 있고, 갈수록 철학의 질이 나아져야 된다는 것입니다.
어느 쪽으로 나아져야 되느냐? 우리나라 안에서 국제사회로 바뀌어야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철학이 한 번씩 바뀌는 것입니다. 기업, 사업, 자영업, 모두 업인데, 이것이 전부 다 기업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업의 단위가 다릅니다.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하는 것이 바르게 하는 것인지 교육을 받고 해야 되고,
그다음 자영업에서 한 단 올라가면 기업인이 됩니다. 기업에 올라가면 기업의 교육을 받아야 됩니다.
기업이 무엇인가? 이런 것을 교육을 받고, 사업가가 되면 사업이 무엇인가 교육을 받은 사람이어야 되고,
그 철학을 가져야만 되는 것입니다. 지금은 이것이 전부 다 뒤섞여 있습니다.
이제 하나하나 단위로 풀어봅시다. 우리 사회에 제일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는 게 자영업입니다.
이 사람들이 지금 굉장히 어렵습니다.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어렵습니다.
왜 어려우냐? 지금 자영업을 하고 있냐는 것입니다. 자영업을 안 하면서 자영업을 한다고 그럽니다.
무엇이 자영업이냐 하면, 내가 이 사회에 접근을 하여 처음 나올 때 자영업자로 나오는 것입니다.
나올 때 어떻게 나와야 되느냐? 명분을 가지고 나와야 됩니다.
남 밑에 있다가, 아니면 집에 있다가 자영업으로 나오면 사회로 나오는 것입니다.
사회로 나올 때는 사회의 대표가 되기 위해서 첫발을 떼는 게 자영업인데, 자영업을 차려 놓고 돈 벌려합니다.
그러면 자영업자가 아닙니다. 업이 되려 하면 많은 사람들을 접하려 나온 것인데,
왜 많은 사람을 접해서, 내가 이제부터 뭐를 해야 되느냐? 이런 것들을 공부해야 되는 것입니다.
이런 기초를 알고 나온다면, 바르게 우리가 자영업을 한다면, 어려운 사람이 단 한 명도 나오지 않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잘못하니까 어려운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과거에는 자영업자를 장사치라고 했습니다.
그런 장사치 때가 언제냐 하면, 배운 바가 없이 내가 돈 벌러 나오니까 장사치인 것입니다.
옛날에 재주가 많아서 재주를 부렸습니다. 노래도 잘하고 연기도 잘하고, 이러니까 사람들은 딴따라라고 했습니다.
그런 것을 하려 하면 부모님들이 못 하게 했습니다. 옛날에는 자영업도 조금 질이 있는 집안에서는 못하게 했습니다.
이 사람들을 장사치라고 부르는 것이나, 딴따라라고 부르는 것이 똑같습니다.
그러면 재주가 좋아서 의술을 가졌습니다. 침도 놓고, 맥도 집고, 어디가 아프니까,
이런 것을 다스려주고, 이런 사람을 뭐라고 했냐 하면 돌팔이라고 했습니다.
역사적으로 내려오면서 우리에게 무슨 교훈을 줬느냐를 풀어내야 그다음 단계가 나오는 것입니다.
돌팔이는 우리 집안이 아플 때만 갖다 썼지, 그 사람은 취급을 안 했습니다.
아무리 재주가 좋고 인명을 다스려도 취급을 안 했습니다.
딴따라나 장사치도 우리가 필요할 때 돈 몇 푼 주고 사 오면 그만이지, 사람 취급은 못 받았습니다.
지금은 자영업자라는 이름은 뭐냐 하면, 배운 사람들이 사회에 나온다.
지식을 갖춘 사람들이 업을 차려서 사회에 나오는 것을 업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장사치가 아니고 자영업자라고 얘기해 줍니다. 지식을 갖춘 사람들이 사회에 바르게 나왔다.
이렇게 해서 이 사람들 품위가 올라갑니다. 이때는 장사치가 아니고 자영업자입니다.
그러면 연예인들은 딴따라가 아니고, 지식을 갖춰서 재주를 부리러 나온 사람들은 연예인이라는 이름이 나오는 것입니다.
돌팔이 이 사람들이 지식을 갖춰서 나오니까, 의사라고 합니다. 이름이 다 바뀌었습니다.
이름이 이렇게 다 바뀌어서, 이 사회가 정리가 되고 있는 것입니다.
왜? 지식인들이 세상에 나온다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장사치가 세상에서 지금 이렇게 활동을 하면 사람대접받으면 안 됩니다.
돈 벌려고 나왔으니까, 돈 받으면 됐지, 무슨 대접까지 잘 받으려 듭니까?
너는 물건을 돈 준 만큼 잘 갖다 놨어야 되고, 이것이 불량이 없어야 됩니다. 이러면 되는 것입니다.
지금은 자영업자가 사회에 나올 때지 장사치가 나올 때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여기 변산에서 내가 자영업을 나왔으면, 명분을 갖고 변산의 자영업자가 돼야 됩니다.
변산에 차렸으면, 이 변산을 좀 알기 위해서 내가 공부부터 해야 됩니다.
자영업을 차려서 내가 지식을 좀 가지고 있지만, 변산은 잘 모른단 말입니다.
모르니까 이 업장을 차리면, 변산 분들이 많이 옵니다. 이 분들을 잘 대하면 이분들이 변산을 가르쳐 줍니다.
이 변산의 일을 보는 사람들이 많이 옵니다. 면사무소, 학교 관리하는 사람도 오고, 이런 분들이 인연으로 옵니다.
제일 먼저 주는 게 그런 분들을 인연으로 주고, 주부도 인연으로 주고,
자영업이라고 차려 놓으면, 하느님이 인면을 주는 것입니다. 그 인연들을 기초를 알고 바르게 대하면,
너무 여기에 대해서 모르는 것을 나에게 가르쳐주러 오는 것입니다. 장사는 덤입니다. 저절로 오게 돼 있습니다.
이 분들이 와서 나에게 가르쳐주는 한마디 한마디를 받으면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배우는 자세로,
이 도시를 알고, 지역을 알고, 여기 변산 시민을 알고, 알아가야지,
그것을 배우고 있으니까, 인연들이 너무 이 사람이 괜찮아 보입니다.
장사를 해 먹으려고 하는 게 아니고, 이 사회를 공부하고 있으니까 굉장히 좋게 보이는 것입니다.
날뛰지 않고 잘난 척도 안 하고, 말을 하니까 잘 받아들이고, 고맙다 그러면서, 겨울에는 따듯한 물 한 잔 더 가져오고,
여름에는 얼음 하나 넣어서 친절하게 하고 이러니까, 사람들이 너무 좋아 자주 오면서,
내가 모르는 것도 가르쳐주고, 내 주위 친구 동료도 데리고 오고 하니까, 이것이 퍼지고 손님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것을 1년 정도 내가 감사하게 잘 감사하게 받아들이면서 이렇게 하니까, 손님이 많아지는 것입니다.
이것이 4대 3대 3으로 나에게 맞춰 인연을 줍니다.
이 지역을 가르쳐줄 사람, 시민들 지기들 습관을 가지고 오는 사람, 그리고 뜨내기로 오는 사람,
이것이 4대 3대 3으로 딱 맞춰서 옵니다. 이것을 바르게 접하면 손님이 막 늘어납니다.
늘어나는 만큼 나는 아는 게 더 많아지고, 사람들이 오면 사람들 대하는 방법을 알고,
이 시를 위해서 내가 뭐를 해야 될 것인가? 이것이 잡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사람이 많아지니까, 종업원도 들어오고, 일 할 사람도 더 많아지고,
이 사람들에게 내가 변산에 대해서 아는 것들을 같이 나누고, 여기는 변산 시만들이 오니까 우리는 이렇게 해야 된다.
이런 것을 같이 나누면서 하니까 번창을 합니다. 장사치로 장사를 하면 지금은 다 문 닫게 만듭니다.
돈만 벌려고 하면, 그 사람들은 퇴출 이렇게 됩니다. 이래서 어려운 것입니다.
돈이 없는 이유는, 내가 자영업을 차려 나올 정도면, 여기에 나와서 뭐를 알고,
앞으로 뭐를 하라고 지금 돈이 없게 해 놓은 것입니다. 사회를 모르니까 돈 없게 해 놓은 것입니다.
그래서 모르면 배워서 바르게 하면 누구든지 전부 다 경제는 어렵지 않게 해 주는 게 자연입니다.
이것을 대한민국부터 그렇게 해야 된다 이 말입니다.
2편에서 계속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의 경영 철학(3-4)(홍익인간 인성교육 13133강) (1) 2023.12.20 기업의 경영 철학(2-4)(홍익인간 인성교육 13132강) (1) 2023.12.19 친일파 후손들이 잘사는 이유(2-2)(홍익인간 인성교육 4207강) (1) 2023.12.17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어렵게 사는 이유(1-2)(홍익인간 인성교육 4206강) (0) 2023.12.16 박근령씨의 일본 두둔 발언 (홍익인간 인성교육 4208강) (0)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