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의견 충돌 대처 방법 (홍익인간 인성교육 5208강)
    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7. 27. 10:28

     

    정법강의 5208강

    다툰다는 것은 부딪친 것입니다. 무언가 부딪친다는 것은 똑같다 라는 것입니다.

    실력의 질량이 똑같아서 부딪치는 것입니다. 여기서 누가 분노를 하느냐?

    이 사회는, 이 자연은  갑과 을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갑이 있고 을이 있습니다. 에너지도 갑의 에너지가 있고 을의 에너지가 있는 것입니다.

    운용은 갑의 에너지가 운용을 하는 것입니다. 을은 딸려가는 것입니다.

    윗사람이 갑이고 아랫사람이 을입니다. 갑과 을을 바르게 정하기만 해도,

    우리는 뭔가 말을 해도 이것을 쓸어 담으려는 것이 다릅니다.

    우리가 갑이라는 것은 조직체에서 자리가 윗자리도 갑입니다.

    윗자리에 앉은 사람이 돈이 필요해서 아랫사람에게 편리를 받으려고 합니다.

    그럴 때는 윗사람이 경제에 대해서는 을이 되는 것입니다. 을이 되면 갑을 존중해야 됩니다.

    또 어떤 프로젝트를 하는데 내가 실력이 좀 달립니다. 아랫사람이 자리는 아래인데 실력이 좋습니다.

    이 사람의 손이 필요하여, 네가 꼭 좀 도와줘야겠다. 그러면 누가 갑입니까?

    아랫 자리에 있지만 실력이 있는 사람이 갑이 되는 것입니다.

    부모님이 우리를 키울 때는 부모님이 갑이 맞죠.  그런데 부모님이 우리를 다 키워서,

    우리가 지식을 갖추고 사회를 잘 이끌어 가는데, 부모님이 경제가 좀 떨어지고,

    지식이 좀 약해서 자식에게 도움을 좀 받아야 됩니다. 그러면 누가 갑인가요?

    자식이 갑입니다. 부모는 항상 갑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떤 부분은 갑이 되고 어떤 부분은 을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을이 갑에게 월권행위를 하면 안 됩니다. 그러면 부딪치는 것입니다.

    우리는 갑을 관계를 잘 이해해야 됩니다.

    위치가 내가 위가 됐다고 해서 항상 갑이 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상대를 항상 존중할 수 있게끔 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안 부딪칩니다.

    원리는 여기서 풀면 됩니다. 지혜로워야 됩니다.

    부딪칠 때는 갑을 관계를 지금 잘못 행하고 있는가? 여기서 숙제를 풀면 됩니다.

    내가 월권을 잘못해서 들이댄 것이 있다면, 내가 을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빠른 시간 안에 찾아가십시오. 찾아가서 잘못했습니다. 제가 너무 모자랐습니다.

    이러면 눈 녹듯이 풀어지고, 오히려 나를 신용을 더 합니다. 이런 일이 벌어집니다.

    우리가 조금 잘못했다고, 지금 바로 단죄 안 내려옵니다.

    잘못한 것을 시간이 가도 바로 안 잡을 때, 시간이 어느 정도 갔으니까 이제 너를 하나 칩니다.

    시간 차가 항상 주어지는 것입니다. 네가 생각하고 찾아볼 시간은 항상 줍니다.

    그래서 우리가 잘못한 사람도 자기가 느껴서 자수를 하면 참작을 많이 해줍니다.

    이런 법칙입니다. 우리 일상생활에 다 있는 것입니다.

    잘못을 느꼈기 때문에 찾아왔습니다. 하면 이것을 그대로 조사관이 써서 판사에게 올라가면,

    이것은 굉장히 참작이 큽니다. 똑같은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