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상대를 존중하는 소통 관계란 (홍익인간 인성교육 12635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30. 11:13
정법강의 12635강 이것을 하나 풀어가려고 얼마나 크게 풀어갔느냐? 그러면 시간이 많이 필요하겠죠. 짧은 시간에 이것을 풀어줘야 되니, 그것을 지금까지 풀어준 것들이 많은 것입니다. 갑을 관계도 짧은 것을 풀어줬으니까, 혹시 스승님이 이것도 방편 아닐까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방편이 아닙니다. 이 스승님이 지금 이 세상에 풀어주는 것은 한 개도 방편이 없습니다. 답입니다. 답인데 더 깊이 풀지 못한 것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생각이 어디에서 비롯되느냐? 갑을 관계에 잣대를 대려고 하는 데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갑을 관계에 잣대를 대지 마라. 상대와 내가 앉았을 때 스스로 겸손하면 되는 것이지, 왜 갑을 관계 잣대를 대서, 내가 갑이면 겸손 안 하려 하고, 을이면 겸손하려 하느냐? 지금..
-
버리고 비우는 것 VS 공부해서 채우는 것 (홍익인간 인성교육 4537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29. 11:44
정법강의 4537강 우리가 비운다고 하는데, 무엇을 어떻게 비우라는 그 원리가 안 나왔습니다. 비워라, 버려라, 내려놔라. 머리에 이고 있으면 내려놓으면 되는데, 무엇을 내려놓습니까? 우리 인간은 모든 정보를 받아들여 성장하는 것입니다. 정보를 받아들인 것을 내가 버린다고 버릴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비우고 버려야 된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네가 아는 것이, 너의 논리로 가지고 있는 것을 우선 놓고, 다른 것을 네가 얻고자 하고 있지 않느냐? 얻고자 하지 않을 때는, 비워라, 버려라 소리를 내가 듣는 적이 없습니다. 우리가 절에 가든, 얻고자 하여 가는 것입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고자 하여 가는 것입니다. 이것을 배우기 위해서는 네 논리를 일단 놔야 됩니다. 이것이 비우라는 것입니다. 비우라는 것이..
-
수련 단체에 전 재산 헌납 (홍익인간 인성교육 4553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28. 11:48
정법강의 4553강 우리가 생각의 질량이 모자라면 어떤 논리에 끌려가야 됩니다. 내가 지금 몇 억을 어떻게 했다고 하는데, 이 몇 억이 내 것이냐? 이 사회의 것입니다. 나에게 온 것입니다. 나에게 왔는데 내가 이것을 운용할 수 있는 질량이 약하니까, 어떤 논리를 가진 사람이나, 집단이나, 이런 데서 약한 부분을 건드리니까,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 이리로 이동한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바른 것이 아니라고 해서 싸우면, 또 더 어려워집니다. 내 못남을 내가 빨리 직시해야 됩니다. 그리고 내 앞에 주어진 것을 열심히 하면, 그것 들어오는 것은 순식간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내가 돈이 이리로 나갔다고 여기서 와야 되는지 알고 있지만, 네가 운용하는데 잘못하면 이리로 나가는 것이고, 네가 또 너를 갖추어서 노..
-
선택을 바르게 하고 싶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12633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27. 11:52
정법강의 12633강 지식을 갖추니까 선택을 해야 되는 것입니다. 선택을 할 때 제일 중요한 게 뭐냐 하면, 나는 어떤 소질을 갖추었고, 어떤 질량인가를 알아야 됩니다. 요즘 스승님이 이판, 사판을 가르쳐 줍니다. 우리가 공부하면서 제일 먼저 알아야 될 게, 가족이 뭔지 알아야 됩니다. 그다음에 인연이 무엇인지, 왜 우리는 사람들과 만나며, 인연을 하는지 알아야 됩니다. 그다음 내가 갑인지 을인지 알아야 됩니다. 갑을 관계를 공부해야 됩니다. 내가 갑일 때는 갑으로서 살아야 되고, 이것을 혼동하여 잘못했을 때 우리는 어려움을 겪게 되어 있습니다. 그다음 마지막 한 가지, 내가 이판인지 사판인지를 알아야 됩니다. 이것만 내가 어느 정도 이해가 되고 나면, 인생살이가 180도 달라지고 상대를 대하는 것이 달..
-
정신병, 귀신을 다스리려면 (홍익인간 인성교육 4557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26. 11:40
정법강의 4557강 우리가 귀신을 잘 다스릴 줄 알면, 세상을 다스릴 줄 아는 것입니다. 우리 가정에 잡귀가 들어왔다면, 우리 엄마에게 붙을 것이냐, 자식에게 붙을 것이냐? 엄마에게 붙으면 누가 힘들겠습니까? 자식이 힘듭니다. 자식을 공부시키려고 지금 들어온 것입니다. 자식에게 들어오니까 누가 힘들겠습니까? 부모님이 제일 힘듭니다. 부모님 중에서 엄마가 제일 힘들고, 그다음이 아빠입니다. 그러면 누구 공부시키려고 들어온 것입니까? 엄마입니다. 우리 어른들 공부시키려고 자식에게 어떤 일이 생깁니다. 우리가 바라지 않는 일이 생겼을 때, 환자는 누구냐? 답답한 사람입니다. 이 사람이 당신이 해야 될 공부를 안 했으니까, 이 영혼들이 네 자식에게도 갈 수 있고, 네가 아끼는 데 가서 애먹입니다. 애먹일 때는 ..
-
아이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 (3/3) (홍익인간 인성교육 4560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25. 11:21
정법강의 4560강 우리가 21세까지는 우리가 행해야 될 의무를 행하는 것이고, 21세가 지나면 의논해야 됩니다. 여기서 내가 공부를 더 하고 싶은데 지원을 바라면, 여기서도 지원을 해 주는데 어떤 명분이 있어야 된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그냥 지원을 해 주면서, 석사, 박사가 되고, 그냥 공부를 많이 하는데 계속 부모님이 지원을 해 줬다면, 어떤 일이 생기는 가를 조금 이야기를 풀어 봅시다. 이 사람은 계속 지원을 받으면서 공부를 했지, 사회를 접근을 하면서 공부를 안 했기 때문에, 박사가 되어 어떤 사회에 들어갔을 때, 이때 사회를 모릅니다. 지원을 계속 받으면서 공부를 한 사람이기 때문에, 사회를 대하는 방법을 잘 모릅니다. 그래서 사회에 펼쳐나가는데 굉장히 문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사람을 바르게 ..
-
부모의 간섭과 자식의 아픔 (2/3) (홍익인간 인성교육 4559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24. 11:56
정법강의 4559강 자식은 부모님이 우리에게 어떻게 해 주는 데까지가 부모의 의무를 행하는 것인가? 자식은 인연으로 나에게 오는 것입니다. 자식과 부모의 관계가 정확하게 자연에서 주는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부모님이 자식에게 행해야 될 의무가 있습니다. 이것은 의무로 주는 것이지, 자식을 돕는 게 아닙니다. 의무를 행하기 위해서 인연으로 오는 것입니다. 우리가 지식과 우리 관계를 알아야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지식이 내 가족이라 그러고, 형제가 내 가족이라 그럽니다. 너희들은 혈육의 인연법이지, 너희들 가족은 아닙니다. 혈육으로 오는 인연으로 주는 것이지, 너희들이 가족이 아님을 알라. 이것을 몰랐다면 우리는 지금부터 연구를 하고, 공부를 해야 됩니다. 자식은 인연법으로 온 것이지, 너희 가족이 아님을 ..
-
아이들의 인성교육 (1/3) (홍익인간 인성교육 4558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23. 11:59
정법강의 4558강 스승님은 지금 무엇을 가르치냐 하면, 세상의 진리를 가르치는 것입니다. 근본적인 가르침, 기초 교육인데, 아이들에게 안 가르칩니다. 여기는 사회대학원 가르침을 주는 곳입니다. 어른들을 공부시키는 곳입니다. 우리 아이들은 왜 안 가르칩니까? 아이들은 이 세상에서 배울 게, 우리가 지금까지 살아 나왔던 모든 정보가 증명되어 있는 지식이 있습니다. 이 세상에 지금까지 역대로 살아오면서 전부 다 정리해 놓은 지식을 학교에 다닐 때 배우는 것입니다. 이것은 습득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무엇이냐? 지금까지 노력했던 진화를, 이 정보를 이전해서 진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기본 정보를 전부 다 흡수하는 게, 지금 만들어져 있는 학교들입니다. 학교에서는 정보를 흡수하는 것이고, 역사에 인류가 살았던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