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선민 유대인과 천손 대한민국인의 역할 (홍익인간 인성교육 12604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5. 11:58
정법강의 12604강 하늘이 사람을 키우는 데는, 많은 시련도 겪으면서 일어나게 만드는, 희생을 시켜 가면서 또 일으키고 하는 것입니다. 한국인도 유대인도 희생을 많이 당했습니다. 희생 속에는 항상 발전을 합니다. 희생은 발전하기 위해서 희생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발전을 못하고 거기에 매몰되어버리면, 이 민족은 거기에서 끝나버리는 것입니다. 아무리 희생을 시켜도 또 일어나고 일어나는 것이, 그것이 힘을 갖추고 있는 것입니다. 이 서양에서 지금 유대인들이 시련과 희생 속에서 그래도 굳건히 일어난 것이, 머리가 굉장히 좋아지고, 질이 굉장히 우수해졌습니다. 한국인도 오천 년 동안에 천 번 이상 전쟁을 하면서 희생하며 아주 압축되어 있는 근성을 키워낸 것입니다. 한국인과 유대인은 앞으로 굉장히 중요한 일을 해..
-
상대가 주파수를 걸고 놓아주지 않는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12600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4. 11:48
정법강의 12600강 인연이 떨어졌는데 인연들하고 아직 주파수가 걸려있다? 이것은 아직까지 내가 뭔가 못 풀고 있어서 그런 것입니다. 내 자신이 풀 숙제를 풀어야 되는데, 이것을 공부를 안 했다는 것입니다. 인연은 서로가 상생하기 위해서 만납니다. 서로를 돕기 위해서 만나는 것이 인연이지, 서로가 불행하기 위해서 만나는 인연은 단 하나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갖추지 못하고 보니까, 내 욕심으로 살다 보니까, 자꾸 어려워지는 게 인연입니다. 서로를 위해서 살라고 만났는데, 왜? 죄업이라는 게 묶여있기 때문에 내 것을 풀기 위해서는, 상대를 이롭게 해야지 내 것이 풀리는데, 죄업을 풀려고 만난 게, 자기 욕심을 더 냅니다. 이래서 힘들어지는 것입니다. 인연은 내가 이 사람을 도울 때, 우리 업이..
-
인연을 잘 맺고 유지하는 방법 (홍익인간 인성교육 12599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3. 11:35
정법강의 12599강 인연을 잘 맺는 것은 어떻게 하느냐? 상대 말을 잘 들어주면 맺어집니다. 그러면 인연을 잘 유지하는 것은 어떻게 해야 되냐? 그것도 상대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입니다. 상대의 말을 잘 들어주려고 해도 잘 안 되는 게, 내 실력이 모자라서 안 되는 것입니다. 상대 말을 잘 들어주는 것은, 인연에게 굉장히 바른 행동을 하기 때문에, 인연이 절대 떠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언제 떠나냐? 상대에게 가르치려 들면 떠납니다. 오늘날 지금 이 시대는 정확하게 그렇습니다. 상대를 가르치려 들지 마라. 나누는 것은 괜찮은데, 가르치려고 들 때 상대는 떠납니다. 왜? 우리는 지식인들입니다. 지식인들은 다 같은 계급입니다. 다 같은 계급이라서 나누는 것은 좋아합니다. 그런데 가르치려고 들면 떠납니다. 왜..
-
정신력을 향상 시키려면 (홍익인간 인성교육 4579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2. 11:51
정법강의 4579강 정신이 부족한 것은 어디에서 오느냐? 지식이 부족한 것입니다. 지식의 질량이 부족하다 이 말입니다. 인성 공부가 됐든, 모든 지식을 갖추는데, 지식은 오만 가지의 지식이 있습니다. 그 지식을 우리는 어떤 것이 지식이라고 생각하고 그것만 갖추었지, 다른 것을 갖추지 못하면 우리가 살아가는데, 나는 어떻게 살아야 되는데, 그 길을 못 갖추었기 때문에, 내가 바르게 분별하지 못하고, 바르게 처리를 못 해서 내가 삶이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인간은 모름지기 지식을 갖추어야 되는 것입니다. 시대적인 지식 이것을 갖추어야 됩니다. 과거에 있던 지식만 갖추어 갖고는 안 되는 시대가 지금입니다. 오늘날의 시대적인 지식을 갖춰야 됩니다. 이것은 어디에서 우리가 지식을 얻게 되느냐? 네 앞에 있는 사람의..
-
단출한 삶 (홍익인간 인성교육 4580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0. 1. 11:49
정법강의 4580강 단출하게 살면 내 건강에 좋다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단출하게 살고 내 집착을 버려라. 이 소리는, 말은 그렇게 할 수 있으나, 그렇게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있는 것입니다. 내가 그렇게 할 수 있는 조건이 안 돼 있는데, 그렇게 하라고 하면, 말은 좋은 말인지 다 아는데, 할 수가 없습니다. 이것을 어떻게 할 것입니까? 우리가 단출하게 살라고 하고, 집착을 버리라고 하는 게, 어떤 사람이 그렇게 이야기를 하느냐? 스님이 한다든지, 목사가 한다든지, 이런 사람이 하는 것입니다. 굳이 벌러 안 나가도, 나 먹을 것은 챙겨놨다든지, 이런 사람들이 그 소리를 합니다. 참 책임 없는 소리입니다. 왜 그러냐? 스님은 먹을 것을 벌러 안 가도 됩니다. 지금. 전에 발우 들고, 두드려 갖고,..
-
정법 가족에서의 효 (홍익인간 인성교육 12596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9. 30. 11:05
정법강의 12596강 효의 근본은 부모를 즐겁게 해 드리는 것에서부터 시작을 합니다. 내 자식이 공부를 열심히 잘해서 훌륭하게 성장을 하면 부모님이 즐거울까요? 힘들까요? 효는 이렇게 들어가는 것입니다. 지금 이 사회는 지식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이차 대전 이후로 부터 이 사회가 변하고 있는 것입니다. 지식인들을 얼마나 많이 만드느냐가 이 대한민국이 힘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각자 가정마다 경제적인 형편에 따라 어지간하면 지식인을 많이 만들려고 했습니다. 한 사람을 우수하게 만들고, 우리 자식 중에 또 한 사람을 우수하게 만드는 이것은 부모님의 보람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지식을 갖추고 나서도, 지금 힘을 못쓰고 있는 때가 오니까, 이것이 뭔가 잘못된 것 같은 것입니다. 지식을 잘 갖추었는데 어째 맥을 못 ..
-
남의 이목에 신경 쓰는 것 (홍익인간 인성교육 4582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9. 29. 11:05
정법강의 4582강 자유분방하다는 서양인들, 우리는 제약을 많이 받는 우리 삶, 무엇이 정확하게 다른 것이냐? 답부터 이야기를 하고 풀어 보면, 지식을 갖추고, 지각을 갖추고, 상대를 이해하고, 상대를 먼저 알려고 하고, 이러한 나의 됨의 기본을 조금이라도 가지고 있다면, 내가 자유분방한 것이 아니고 상대를 먼저 보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함부로 행하는 것을 주춤하고, 상대를 먼저 생각하는 것입니다. 환경을 먼저 생각하고 내가 행동할 것을 하려고 하고 있다. 이것이 나무뿌리와 나뭇가지가 다른 것입니다. 지도자와 백성이 다른 이유입니다. 리더와 일꾼이 다른 것입니다. 그러면 서양은 왜 자유분방하냐? 모르니까 뭘 모르냐? 상대를 모릅니다. 상대를 모르는데, 상대를 알려고 할 필요가 있느냐? 그것조차도 아주..
-
이재용, 빌 게이츠 '개도국 화장실' 의기 투합 (홍익인간 인성교육 12592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9. 28. 11:27
정법강의 12592강 화장실은 우리 삶 중에서 일부분을 이야기합니다. 대한민국이 2차 대전이 일어나고, 우리가 개발, 발전이 안 됐을 때, 대한민국이 어떤 시점이었냐 하면, 화장실 문화가 제일 낙후했습니다. 인간은 분비물을 배출하게 되어 있는데, 이것을 바르게 안 치운다는 것은, 뭔가 지식과 사회 건설이 안 돼 있기 때문에, 그것을 바르게 안 치우는 것입니다. 옛날에는 지게에 똥을 퍼서 어디로 가지고 갔냐? 밭에다 똥 줬습니다. 똥오줌을 밭에다 주고, 채소를 키우는데 거름으로 썼습니다. 이 나라 전체가 똥 싸고, 오줌 싸는 것을 그렇게 했는데, 그러면 나라의 냄새가 어땠겠습니까? 지금 닭똥 냄새는 깨끗한 데서 조금 나는 것입니다. 온 나라에 전부 다 똥을 뿌리고 살았던 때입니다. 우리는 면역이 돼서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