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을 위해 산다는 것 (2-2) (홍익인간 인성교육 13024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9. 11. 11:25
정법강의 13024강 우리 아버지가 둘째 놈 보니까 버릇이 너무 안 좋아서 버릇 고치려고, 지원했던 것도 끊어버리고 못살게 해 놓고,
경제도 좀 힘들게 해 놨는데, 큰형이 보니 동생이 어려우니까 내가 조금씩 줘야 되겠습니다.
동생은 좋다고 형에게 붙습니다. 아버지가 안 주니까. 아버지가 보니까 형 이놈이 내가 지금 안 주는데,
자기가 자꾸 줘서 벌이 안 됩니다. 그러면 아버지가 어떻게 합니까? 형 주던 거 끊습니다.
형에게 줬던 것도 뺏어버립니다. 그래야 너도 안 줄 것 아니냐?
저 놈 버릇을 고쳐야 되는데 네가 자꾸 줘버리면 버릇을 못 고치니까.
이것이 하느님이 하시는 일과 똑같은 게 지금 일어나는 것입니다.
함부로 누구 돕는다고 하지 마라. 인간은 사람을 이롭게 하고 남을 돕기 위해서 태어난 것입니다.
돕기 위해서는 내가 공부를 해야 되고, 무엇이 참 교육이 되는 지를 알아야 되고, 그것을 할 때 사람을 돕게 되는 것입니다.
공부해라. 지금 우리 젊은이들이 남을 돕는다 생각하지 마라. 이 돕는 방법이 뭔지를 공부하러 간다고 하면 이야기가 되지만, 너희들은 남을 도울 수가 없습니다. 남을 돕는 것은 언제부터 시키느냐? 어른이 되고 나서입니다.
어른이 언제냐? 지천명. 50대가 되고 나서입니다. 어른이 어른 행위를 해야 됩니다.
어른이 되면 후배들, 후손들을 위해서 사는 게 어른입니다. 나 잘 살려고 하는 것은 어른이 아닙니다.
나이 든 사람이 될 수 있어도, 어른이라는 소리는 못 듣습니다.
어른의 행위를 할 때 이 사회의 어른이 나오는 것입니다. 어른은 이 후손과 후배를 위해서 사는 것입니다.
내 인생을 그렇게 불태우는 것입니다. 어른들이 아이들을 돕지, 어떻게 아이들이 어른을 돕습니까? 그런 법칙은 없습니다.
우리가 어른이 되고 나이가 든다는 것은, 내 밑을 위해 살기 위해 성장하는 것입니다. 내 아랫사람들, 힘이 없는 사람들.
이런 사람들을 위해 산다는 이유가 왜 그렇게 되는 것이냐? 그렇게 해야만 네 업이 소멸됩니다.
네가 지은 죄가 그런 것입니다.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만이 죄가 없어집니다.
우리는 죄를 지었다 그러니까, 전생에 죄를 많이 지어서 그럽니다. 이것도 하나의 논리일 뿐입니다.
우리 죄는 언제 가져왔느냐? 원죄를 가지고 온 것입니다. 신들이 대우주의 원소들로 있다가,
이 지상에 오게 된 영혼신들이, 원죄가 있어서 대자연이 변화가 일어나고 그렇게 해서 우리는 지금 이 땅, 지구에 와서,
그 탁한 기운을 어떻게 소멸하느냐? 그것을 우리는 끊임없이 배우고, 연구하고 갖추어서, 마지막 일생을 살 때는,
사람을 이롭게 하는 데 네 인생의 시간을 전부 다 불태워라. 그래서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할 시대가 온 것인데,
이 교육을 못 받아서 그렇게 못 하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 젊은이가 사회를 위해서 살고 싶고,
사람을 이롭게 하고 살고 싶고, 남을 돕고 싶습니다. 그렇게 해 줄 테니까 지금은 공부하십시오.
함부로 나서지 마라. 공부하고 있어라. 스승님이 정확하게 사람을 이롭게 하고 돕게끔 해 줄 테니까.
시간이 얼마 안 남았습니다. 시작이 될 테니까. 우리는 그렇게 살 때,
얼마나 즐거운 일이 일어나는 지를 우리는 맛보게 될 것입니다. 내가 즐거운 일이 일어난다는 것은,
네 업이 소멸되고, 네 영혼이 맑아지고, 네 영혼이 지금 춤추고 있는 것입니다.
즐거운 일이 일어나면 어떻게 되는지 그때 맛봐야 압니다.
아직까지 인류에는 즐거운 사람이 단 한 명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행복하다고 많이 했죠? 신랑 처음 만날 때. 왜? 다이아몬드 줬거든요.
그것은 행복한 게 아니고 좋았던 것입니다. 내가 돈을 주니까 고맙다고 하니까 내가 좋았죠.
좋은 것은 좋다가 말다가, 좋다가 말다가, 이러면서 우리 공부를 시키는 것입니다.
이것이 좋은 것의 한 단을 넘어갔을 때 어떻게 되냐? 즐거운 일이 일어납니다.
좋은 것은 얻었을 때 좋은 것입니다. 저 사람이 나에게 칭찬을 할 때, 또 저 사람이 나에게 금덩어리를 줄 때.
그때 좋은 것입니다. 보석을 받았는데 조금 있으니까 식었습니다. 그러면 이제 내려가는 것입니다.
물질은 항상 좋게 남아있을 리가 없습니다. 질량에 따라서 다시 내려갑니다.
이렇게 좋은 것을 가지고 좋았다 많이 좋았다. 미치게 좋았다. 환장하게 좋았다. 이런 것은 좋은 것입니다.
그러면 즐거움은 어떻게 오느냐? 내가 너를 위해서 살았을 때 즐거운 것입니다.
이것이 질이 있는데 내가 너를 위해서 살았을 때 내가 즐거움이 옵니다.
상대는 나에게 어떻게 하느냐? 고마워서 존중합니다. 이럴 때 나는 즐거움이 옵니다.
즐거움은 절대 안 내려갑니다. 즐거운 질량이 보태지면, 그것을 내가 더 질량 있게 상대를 대하면, 기쁨이 옵니다.
기쁨이 왔을 때 또 상대를 위해서 노력하는 게 질이 좋아지니까, 상대를 위해서 내가 질 좋게 인생을 사니까,
거기서 행복이 오는 것입니다. 즐거움과 기쁨과 행복은 남을 위해서 살았을 때 오는 것이고,
좋은 것은 내가 얻었을 때 좋은 것입니다. 지금은 즐거운 인생을 살아야 될 때인데, 좋은 것만 갖고 살다 보니까,
인생이 파도를 타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 나이가 들었는데, 맨날 그 파도만 타니까 미치는 것입니다.
앞으로 우리가 이것을 바르게 공부를 해야 되고 만져야 되는, 연구를 해야 되는 것입니다.
내 인생이 즐거우면 내가 해방됩니다. 내 영혼이 해방되어 너는 천상으로 스스로 가게 돼 있습니다. 무거움이 없어서.
이렇게 우리는 내 인생의 마지막을 살 때, 남을 위해 살아지는 것입니다. 마지막이 되기 전까지는 진화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에 답을 찾아서 남을 위해 몇십 년을 그렇게 살았을 때, 내 업이 소멸되어 내 업이 가벼워져서,
천상으로 오르는 것이 그것이 우리 인간 신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홍익인간으로 태어난 이때가,
마지막 일생을 사는 때이기 때문에, 우리부터 지식을 갖추고 교육을 받아서, 내 삶을 아주 정의롭게 살아서,
너희들 영혼의 탁한 것을 싹 걷어내고, 천상에 오르는 천신이 되게 하기 위해서, 그렇게 운용하는 게 이 지구촌입니다.
이런 교육을 시켜줄 사람이 안 왔습니다. 자연의 법칙을 모르다 보니까, 다 깨치지 못하다 보니까,
이런 것을 이끌어줄 사람이 세상에 안 나왔던 것입니다. 그런 분을 기다리고 있는 게 여러분들이고 세계입니다.
세계가 누굴 기다리나요? 구세주를 기다립니다. 구세주가 누구인가요? 구해주는 사람입니다.
나를 구해주는 사람. 답답한 내가 안 답답하게 살게끔 구해주는 사람.
힘든 내가 힘들지 않게 살게 구해주는 사람. 이것이 구세주입니다.
요즘 구세주, 구세주 하니까, 저 쪽에 구름 타고 하얗게 호리병 들고 와서 부어주면, 내가 금덩어리 비슷하게 되면,
그것이 구세주인 줄 압니다. 구해줄 사람은 거지로 오는 것입니다.
내 공부를 다 하고 나면, 그 사람은 거지 중에 상거지가 되는 것입니다. 그 사람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래서 한 사람을 구해주고, 두 사람을 구해주면서, 내 옷을 하나씩 바꿔가는 것입니다.
사람들을 이롭게 하면, 내가 거지 옷을 입게끔 그 사람들이 놔두지 않습니다.
사람을 이롭게 하면, 내 삶이 어렵지 않도록, 이로움을 받은 사람들이 가만 놔두지 않습니다.
이것이 자연의 법칙입니다. 내가 잘 살려고 하지 않아도 잘 살 게 다 해 주고,
욕심을 내지 않아도 필요한 게 다 오고,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 대한민국의 지도자들은 그렇게 살게끔 하려고 하느님이 우리를 인도하고 이끌고 있는 중입니다.
멋진 인생을 한번 살면서, 보람 있게 살면서, 우리 인생을 마무리할 수 있는 길을 이끌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이렇다는 공부만 시켰지만, 그 일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일을 지금부터 할 테니까,
너무 걱정하지 말고, 내 공부하면서 조금만 더 기다리면, 그런 환경이 일어날 것입니다.
그렇게 이해하십시오.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보람되고 알찬 인생을 살아가려면 - 바른 일과 시험지 (홍익인간 인성교육 4223강) (0) 2023.09.13 남편이 스승님 액자를 깨고 나서 걸린 암 (홍익인간 인성교육 4224강) (0) 2023.09.12 남을 위해 산다는 것 (1-2)(홍익인간 인성교육 13023강) (0) 2023.09.10 순리대로 살아도 원하는 삶을 살지 못하는 이유(홍익인간 인성교육 13020강) (0) 2023.09.09 숫자와 인생의 관계 (홍익인간 인성교육 4228강) (1) 2023.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