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무엇이 당신의 인생을 의미 있게 만드는가?(홍익인간 인성교육 13149강)
    홍익인간 인성교육 2024. 1. 7. 11:56

    https://youtu.be/N_WDz7DP2TA?si=QleV3MZbVtMNGSSL

    천공 전법 13149강

    우리는 지금 돈을 쓰는 것을 좋아할 때입니다. 그러니까 돈이 제일 좋죠.

    내 자식이 좋을까요? 말 안 들어서 안 좋습니다. 부모님이 좋을까? 안 좋습니다.

    우리는 지금 어떤 사회를 살고 있느냐 하면, 이 질문을 20년 전에만 물었으면 우리가 1등입니다.

    밀레니엄 전에는 세계에서 대한민국을 따라올 수 없을 만큼 가족을 중요하게 여겼던 나라입니다.

    그런데 밀레니엄 이후로 우리는 전부 다 지식을 갖춰서 다 똑똑합니다. 지식을 갖고 싸우는 나라입니다.

    내가 갖춘 지식을 갖고 똑똑해서, 국민과 국민이 싸우고, 친구와 친구가 싸우고, 부모와 자식, 부부가,

    형제가 싸우는 나라입니다. 싸우는데 가족이 중요합니까? 이렇게 된 것입니다.

    만일에 안 싸우고 돌아오면 어떻게 될까? 가족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우리 엄마가 나에게 도움이 안 됩니다. 내 남편이 나에게 도움이 안 됩니다.

    내 부인이 나에게 도움이 안 됩니다. 형제끼리 도움이 안 됩니다.

    우리는 오천 년 동안 가지고 있던 게, 가족의 중요성으로 내려온 나라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것이 전부 다 분리가 된다는 것은, 이것을 연구를 안 했고, 가족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족이 자기 역할을 못 합니다. 2,30년 전만 해도, 서구사회를 개인주의라 했습니다.

    우리는 가족 중심이라 했습니다. 우리는 오천 년을 이어온 것입니다.

    지금은 서구사회가 가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압니다. 그래서 가족이 중요하다는 노력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오천 년 동안 그렇게 하면서 살았습니다. 그런데 지금 이것이 전부 다 금가고 깨진다는 말입니다.

    왜? 새로운 시대에 가족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았어야 됩니다.

    연구를 해서, 가족이 얼마나 중요하며, 우리의 포지션이 뭔가를 알고, 이런 것을 연구를 해서,

    새로운 가족의 패러다임의 답을 꺼냈어야 됩니다. 이것을 찾았어야 되는데 못 찾았습니다.

    가족의 중요성을 모르고, 이제는 전부 다 손 흔드는 최고의 지식인들이 됐으니까, 지금은 내 말 안 들으면 다 남입니다.

    힘의 논리로 내가 좀 딸리면, 듣는 척만 할 뿐이지, 내 말 듣는 사람이 없습니다.

    대한민국은 지금 가족인 줄 알고 있었는데 전부 다 원수더라, 분리되는 환경이니까,

    이제부터 가족을 만들어야 되는 것입니다. 우리 정법 공부하는 사람들은 스승님이 뭐라고 합니까?

    정법 가족이라고 합니다. 가족이라면 아껴야 되나요? 내 말 안 듣는다고 저것을 쳐야 되나요?

    가족을 아끼면 여기서 사랑이 나오고, 에너지가 나오고, 이 사람들이 잘되는 것입니다.

    잘되는데 내가 등을 돌린다? 나는 가족을 중요시 여기는 사람입니다.

    스승님은 태어나서 4살 때부터 고아로 자란 사람입니다. 나를 돌봐줄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나는 내가 갖출 것을 다 갖추고 나서, 공부 끝나고 나서는, 나는 가족을 제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입니다.

    혼자 성장한 사람이고, 가족도 없는 고아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법 가족이 모이는 것입니다.

    나는 가족이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지금은 적은 것입니다. 앞으로 어마어마하게 많은 가족이 생길 것입니다.

    나는 가족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정법 가족은 내 가족입니다.

    우리 가족들이 바르게 잘 사려고 하면 미래를 준비해야 됩니다. 지금 하나라도 갖추면서 공부해야 됩니다.

    공부를 해야 우리가 사회에 우수한 일을 일으킬 때, 이것을 알고 같이 갈 수 있습니다.

    지금은 내가 돈 많이 벌려고 한다고 벌어지지 않습니다. 우리가 무엇을 하느냐에 따라 돈이 옵니다.

    무엇을 하느냐에 따라 경제가 옵니다. 그런데 경제를 욕심내고 가는 사람은, 경제가 많이 절대 안 옵니다.

    경제를 욕심내는 사람은 경제의 노예입니다. 돈을 벌려고 하는 사람은 돈의 노예가 되어, 돈에 놀립니다.

    돈을 가진 사람에게 놀립니다. 그러면 내 인생은 절대 발전을 못 합니다.

    이 사회에 내가 할 일이 무엇인가를 찾아야 됩니다. 그러면서 내 모자란 것을 갖추고 있으면,

    이 사회에 정확하게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그런 일이 옵니다.

    우리가 최고 뜻있고 보람 있는 일을 해야 되나요? 아주 천한 일을 해야 되나요?

    우리는 세계에서 최고로 지식을 많이 갖춘 홍익인간 지도자들입니다.

    이 사람들이 지적이고 보람 있는 일을 하면 어떻게 되냐? 

    우리가 돈을 벌려고 안 해도 돈은 저절로 오고, 우리가 쓸 것이 다 옵니다. 바르게 잘 쓰면 돈을 더 줍니다.

    돈을 바르게 쓰는 법을 모르면, 돈 쓰는 게 얼마나 힘든 줄 압니까?

    너 하루에 500만 원씩 줄 테니까 다 써야 된다. 보석 사는 것 이런 것은 안 됩니다. 너는 죽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바른 것을 알고, 바르게 살면서 돈을 쓰면, 돈 쓰는 게 그렇게 신나고 재미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잘 사는 것입니다. 돈은 얼마든지 오게 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으로 몰리게 할 수도 있습니다.

    세계에 돈을 이만큼 많이 만들어 놓은 적이 없습니다. 천지창조 이래로 없습니다.

    대한민국이 지금 이만큼 많은 돈을 운용하는 적도 없습니다. 왜 돈을 많이 만들었을까요?

    신나게 잘 쓰면서, 잘 살라고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것을 못 씁니다.

    왜? 뜻있고 보람 있는 일을 해야 될 사람들이 몰라서 그 일을 안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뜻있고 보람 있는 일을 하면, 세계가 감탄합니다. 세계가 이리로 투자를 하든 경제가 다 옵니다.

    보람 있는 일을 하는 쪽으로 경제는 다 오게 돼 있습니다. 돈에 욕심내지 마십시오.

    이 사회에서 내 할 일을 찾으십시오. 내 질량을 점검을 하고, 내 할 일을 찾아야 됩니다.

    내 할 일을 하는 사람은 절대 어렵게 안 합니다. 대한민국이 진짜 보람 있는 일을 시작합니다.

    이럴 때를 위해서 우리가 갖춰 놓은 것입니다. 보람 있는 일을 시작할 때, 엄청난 변화가 옵니다.

    3년, 5년 신나게 하는데, 나중에 보니까 내가 잘 삽니다.

    누구도 어려움 없이 사는 나라 대한민국이 돼야 잘 사는 것이지, 내가 돈 좀 어디서 당겨왔다고, 잘 살지는 못 합니다.

    다 같이 잘 사는 사회가 돼야지, 우리가 잘 사는 것입니다. 그런 일이 일어날 때가 됐고, 일어날 것입니다.

    지금 국제사회가 조사해서 알리는 것은, 우리가 반성할 것, 우리가 찾을 것, 이런 것을,

    우리가 어떻게 돼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는 것입니다. 우리 국민이 이만큼 헤매고 있는 것입니다.

    돈이면 다 되는 줄 압니다. 그런데 돈은 절대 그렇게 안 줍니다. 너희들이 돈이 제일 좋다고 할 때는 돈 안 줍니다.

    이것이 세상의 운용의 법칙입니다. 너희들이 나는 돈이 제일 좋다고 하면, 돈 안 줍니다.

    이 사회에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보람 있는 일을 할 때 돈을 줍니다. 지금 키를 잡아야 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아무리 쳐다봐도 좋은 일도 없고, 보람 있는 일도 없는데 무엇을 하라는 말입니까?

    지금 그 준비를 하는 게, 나 자신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돈을 좋아한다는 사람이 질이 높나요, 낮나요?

    대한민국 사람이 세계에서 질이 제일 낮게 돼 있다는 소리입니다. 헤매고 있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 사람들은 질이 제일 좋은 사람들입니다. 앞으로 이런 것을 전부 다 바꾸어 가고, 잡아갈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세상에 나왔다면, 그 사람 때문에 세상이 변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새로운 물이 흘러서 순식간에 바뀔 수가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 말고,

    우리는 열심히 갖춰가며, 준비를 합시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