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집 센 이웃과 정법을 전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 (홍익인간 인성교육 11622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0. 19. 16:04
정법강의 11622강 지금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이 왜 안 되냐? 내 욕심이 들어가서 안 되는 것입니다.
상대를 위해서 내가 살아야 되는데, 내 욕심으로 상대를 끌고 가려고 하니까 안 되는 것입니다.
우리 정법 가족이, 저 사람이 법문을 들어서 고집을 꺾어야 되는데, 이러고 접근을 합니다.
그 사람 절대로 그렇게 안 합니다.
저 사람이 이것을 들어줬으면 좋겠는데, 안 들어준다고 저 사람을 뭐라고 합니다.
절대 안 됩니다. 내가 분명히 말했습니다. 법문 안에 그런 말이 많습니다.
하도 그러고 있어서, 꼭 집어서 얘기를 했는데도, 오늘도 그 소리를 질문을 합니다.
너에게 도움을 바라고 오는 자 아니면 네가 도울 수 없습니다.
내가 공부를 열심히 하고 내 행동이 바뀌면, 멀어지고 있던 이웃도,
나에게 부침개 하나 해서 가까이하려고 옵니다.
왜 찾아가냐? 찾아가지 말고 너는 공부만 하고 있으면 되고,
내 가게에서 내 환경 안에서 활동하는 것이 변하고 있으면 됩니다.
그러면 상대가 쫓아옵니다. 쫓아오니 잘해 주십시오. 전처럼 기싸움하지 말고 잘해 주십시오.
잘해 주니까 오늘 간 보고 가고, 내일 또 와서 간 보고 갑니다. 왜 전과가 있으니까,
이 사람이 접근할 만 한가? 간 보러 옵니다. 그럼 잘해 주십시오.
그러면 전보다 다르다 이 사람이, 왜? 내가 10년을 지켜봤는데 왜 이 사람이 변하지?
왜 이렇게 잘해 주지? 움직입니다. 몇 번 그렇게 잘해 주고 하다 보니 자주 만나고 싶고,
이제는 내가 바뀌었으니 그 사람이 만나 주는 것입니다.
만나 주니까 자주 만나게 되니, 내가 말을 많이 해서 그 사람을 끌고 가려하지 말고,
그 사람이 말을 많이 할 수 있도록 해 주십시오.
그것을 다 받아주니까, 그 사람이 어려운 이야기도 다 털어놓습니다.
간을 보고 될만해야 내가 어려운 얘기도 합니다.
어려운 얘기를 하고 있다는 것은, 내가 깨갱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무슨 소리냐? 을이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누구에게 어려운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은, 내가 을로 들어왔다는 것입니다.
이 사람을 갑이라고 두고 내 안의 어려운 것을 털어놓는 중입니다.
그러면 내가 겸손하게 이 사람 얘기를 받아 줘야 됩니다. 그 어려운 것을 털어놓을 때까지,
그 힘든 얘기를 나에게 털어놓으려면, 나를 지금 믿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이야기를 다 받아 주고는, 아이고 그 어려운 일이 있었구나 몰랐습니다.
걱정하지 마시고, 내가 좋은 선물 하나 할 테니까, 이것 한 번 들어 보십시오. usb를 만들어서 주는 것입니다.
선물하십시오. 선물하라고 하니까, 이것 선물입니다. 하면서 막 주려고 합니다. 그것은 안 됩니다.
선물하는 원칙이 있습니다. 오늘 너무 즐거웠습니다. 고맙죠. 고마웠으니까 선물할 수 있는 것입니다.
새로이 만난 사람일지라도 오늘 대화를 해서 너무 좋았다 이거죠.
아이고 너무 고마웠다고 하면서, 그 고마운 답례로 선물하는 것입니다.
몇천 원 이 정도는 김영란법에 안 걸립니다.
이것은 1억 원 줘도 구할 수 없는 질량이 이 안에 들어있습니다.
이것을 바르게 선물을 해서 이 사람이 들으면, 이것만 다 듣고 나면 어떤 일이 생기냐?
우리 국민이 지금 총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 안의 갑갑한 병이 풀립니다.
법문을 바른 것을 받아서 우리가 들었다면, 이 안에서 갑갑한 것이 스스로 풀리는 것이 1번입니다.
갑갑한 것이 뭉쳐서 막으니까, 다른 것이 들어오는 것이 안 들어옵니다.
분별도 바르게 안 되고, 지혜도 안 열리고, 뭔가 분별을 해서 활동을 해도 활동이 신통치 않습니다.
지금 우리 국민이 이 병에 걸려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나을 수 있는 방법은 생활도에 필요한 진리로,
우리가 공부하는 것을 100개만 들어도 풀리고, 어떤 사람은 300개 들어야 풀립니다.
그래서 100일 동안 이것을 열심히 들으라고 한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든 갑갑하고 힘들면, 너 이것을 100일 동안만 열심히 들으면 이것이 풀린다.
풀리고 나서부터 병도 낫고, 관계성도 돌아옵니다. 이것이 안 풀리면 우리는 한 치도 못 나갑니다.
네가 걷는다고 걷는 것이 아닙니다. 걸은 것이지. 이런 것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내 주위 이웃부터 그렇게 하려고 드는데, 이웃부터 그렇게 하려고 들지 마십시오.
내 가게에 오는 사람들에게 잘하고 있으면, 여기가 지금 뭔가 달라집니다.
나는 모릅니다 매일 있는 일이라, 그 주위의 사람은 압니다.
요즘 들락거리는 사람과, 들어가면서 행동하는 것과, 나오면서 행동하는 것과,
웃으며 다니는 것을 보면, 우리 동네에서 일어나지 않은 일이 거기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러면 관심을 갖고 이리로 끌려옵니다.
왜 거기에 신경을 씁니까? 그러면 여기를 잘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남의 일에 간섭하지 마십시오. 내 일을 잘하면 남이 됐던 사람이 다가올 텐데, 그때는 남이 아닙니다.
오는 사람을 잘해 주십시오. 나에게 오는 사람을 잘해 줘야지,
억지로 거기 가서 잡아와서 잘해 주려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오는 사람을 잘해 주는 것은, 전에는 내가 가르치려고 들었는데,
지금은 가르치려 들지 말고, 그 사람이 하는 말을 잘 들어주는 것이 그 사람을 돕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중에 아픔까지도 털어놓는 것입니다.
누구든지 아픔이 다 있습니다. 아픔의 방법이 다를 뿐입니다.
부자도 아프고, 가난한 자도 아프고, 잘생긴 사람도 아프고, 못 생긴 사람도 아프고, 다 아픕니다.
높은 놈도 아프고, 낮은 놈도 아프고, 이 대한민국이 싹 아픕니다.
들어줘라 이것이 일차적인 것입니다. 일차적인 것이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받아 주는 사람.
받아 주고 나니까, 2차적으로 꺼내는 그것도 받아주는 사람.
3차적으로 나눌 때는 어려움이 나옵니다. 그것도 받아주는 사람.
이 어려움이 나왔을 때 받아 주고 나서는 , 이것을 같이 공감을 하고,
이것을 푸는 방법을 내가 가지고 있으면 이것을 도와주는 것입니다.
제가 선물 하나 올릴 테니까, 이것만 듣고 나면 굉장히 힘든 것이 풀릴 것입니다.
그러면서 주는 것입니다. 얼굴도 안 들어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전부 다 자기 나름대로 개념들을 다 가지고 있고 상식이 있어서,
나처럼 생긴 사람은 얼굴 보는 순간 사이비 딱 들어옵니다.
뭐야 이 사람, 왜? 하도 자연인이라고 하면서 사이비 짓을 많이 했고,
뭔가 나처럼 생긴 이런 모양으로 엉뚱한 짓을 많이 해 가지고, 나는 거기에 치는 사람입니다.
그러니 얼굴 보여 주지 말고, 내용만 가지고 그 사람이 도움이 되게 하라.
분별을 다르게 하도록 만들지 말고, 그래서 usb를 지금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처음 만난 사람하고 이야기 좀 나누고 나면, 오늘 너무 시간이 고마왔잖아요.
그렇게 고마운 대가로 답례로 선물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을 잊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 선물 하나가 그 사람을 구합니다.
우리가 어디에 활동을 같이 하면서 고마웠다면, 그 사람에게 선물로 주어라.
나에게 당신 힘든 것을 다 털어놨으니 너무 고맙다고, 제가 선물 하나 드리겠습니다.
나를 믿어 준 것이 너무 고맙지 않습니까?
어려운 것을 나에게 이야기한 것은, 나를 갑으로 만들어 준 것입니다.
그러면 그것을 해결해 주는 사람이 되어야지, 그것을 해결 못 해 주면 내가 어려워집니다.
이 파일 하나가 그 사람을 해결해 줍니다.
이제부터 이것을 한 번 해 보면 압니다. 이 usb를 선물하기 운동이 펼쳐지면,
내가 꾸준히 주위에 오는 사람을 도왔으니까, 이 사람들이 좋아지면서 나에게 쫓아오기 시작합니다.
이때 내 사람이 만들어집니다. 내가 도와서 도움이 됐다면,
그 사람은 나에게 정확하게 옵니다. 이렇게 와서 내 인연이 만들어집니다.
이제부터 나는 어떤 일도 할 수 있고, 연구도 할 수 있고, 같이 도반이 될 수 있고,
나의 도반이 어느 정도 크고 나니, 우리 도반으로 갈 수 있는 것입니다.
앞으로 우리 홍익인간 지도자들이 후천 시대에 내 인연들을 내가 만들 수 없다면,
나는 영원히 외로울 것입니다. 벗어날 수 없습니다.
사람을 이롭게 하지 않는 자는, 너는 영원히 외로울 것이다.
죽어서까지 외로움을 가지고 갑니다.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하고 망하는 것 (홍익인간 인성교육 11631강) (0) 2021.10.21 백두산에 가서 천제를 하는 이유 (홍익인간 인성교육 2087강) (0) 2021.10.20 근기와 집착의 구별 (홍익인간 인성교육 5138강) (0) 2021.10.18 마음의 열쇠 (홍익인간 인성교육 2286강) (0) 2021.10.17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인연과의 바른 거리 (홍익인간 인성교육 11606강) (0) 2021.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