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순과 성향 (홍익인간 인성교육 4981강)
    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2. 29. 13:47

     

    정법강의 4981강

    모순은 내가 사회생활 속에서 습관이 잘못 든 것입니다.

    우리가 유식하다 무식하다 하는데, 이것부터 바로 잡아야 됩니다. 자기를 모르면 무식한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어렵게 살고, 힘들게 살면서, 왜 힘들게 사는지 모르는 것이 무식한 것입니다.

    무식하다는 것이 글을 안 배웠다는 것이 아니라, 네가 힘들게 살면서 왜 그런지도 모르고,

    그것을 찾지도 않는 것이 무식한 것입니다. 

    우리가 형편이 어렵고 힘들면, 왜 형편이 어렵게 될 수밖에 없게 사는지,

    이런 것을 찾고 공부를 해야 되는데 이것을 안 하고 있습니다.

    자기 방법으로 옳다고 살고 있고, 남에게 잘났다고 하고, 어려우면서 남 앞에 잘났다고 하면 어떻게 됩니까?

    계속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아런 사람 보고 무식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 사람이 학교 어디 나왔는지, 출신이 어딘지 어떻게 압니까?

    그렇게 행동하는 것을 보고 무식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누구에게 무식하다는 소리 들으니까 기분이 엄청 나쁩니다.

    내 앞에 보이는 네가 무식하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무식한 것 맞습니다.

    오늘날에는 어느 한 분야만 유식하다고 유식한 사람이 되는 사회가 아닙니다.

    사회를 살려면 사회를 골고루 배웠어야 유식한 것이지,

    한 가지만 알아 가지고는 유식자라고 얘기 안 하는 것입니다.

    천 년 전에는 어떠한 상태로 살았는지, 거기에 맞는 지식을 갖추어서 사회를 사는 것이고,

    오늘날은 우리가 사는 게 전부 다 사람을 접하며 살아야 되고, 어떤 환경을 접하며 살아야 됩니다.

    접하는 사회를 우리가 어느 정도는 알아야 이 환경에 같이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유식한 사람입니다.

    스승님이 공부를 시키면, 오만 분야를 다 건드려서 가르쳐 줍니다. 이것이 별로 유식하고 관계없는 것 같지만,

    오늘날 이 사회는 이 사람에 대해서도 알아야 되고, 저 사람에 대해서도 알아야 되고, 이 사회도 알아야 되고,

    전부 다 골고루 알아야지, 그것을 바르게 대하고 우리가 바르게 살 수 있습니다.

    이 공부가 안 되면, 내 소질만 가지고 잘났다고 사는 시대가 지금은 끝났습니다.

    상대를 이해하지 못하면 상대하고 맞출 수가 없고, 내 소질을 상대들을 위해서 쓰려고 하면,

    상대들을 모르면 아무리 소질이 좋아도 상대에게 맞게 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상대를 공부하는 것입니다.

    지금 정법 공부를 하면서 나의 모순을 잡으라고 하니까,

    뭔가 버릇이 잘못된 것을 전부 다 모순이라고 갖다 대려 하면 한정이 없습니다.

    그것이 아니고, 내 모순은, 나는 지금 잘났냐?

    내가 지금 남 앞에서 어떤 말을 하는 것이, 내가 지금 다 갖추어서 하는가?

    내가 남의 것은 받아들이는 것은 없이 내 것만 피력하는가? 이런 것들은 모순입니다.

    자연의 법칙에는 내가 말을 하기보다는 남의 말을 듣고 나서 답이 나오는 것입니다.

    그런데 남의 말은 안 듣고, 내 방법으로 자꾸 주어 넣습니다.

    오늘날 이 사회가 그런 것을 좋아합니까? 안 좋아합니다.

    그러면 나쁜 습관이 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런 모순을 잡아 보십시오.

    그리고 어떤 일이 잘못되어 내가 어려워지니까, 남 탓을 자꾸 합니다. 이런 것은 잘못된 습관이라는 것입니다.

    우리 공부의 1호가 남 탓하지 마라입니다. 남 탓을 왜 안 해야 되는 것이냐 하면,

    네가 어려워졌을 때는 너에게 원인이 존재하는 것이지, 남 탓을 하게끔 되어 있지 않은 것입니다.

    상대들은 자기가 한 행동을 하고 사는 것이지만,

    이것을 내가 탓할 수 있는 자격은 하느님이 우리에게 안 줬습니다.

    사람은 자유로운 것입니다. 그 사람들이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그 사람들이 하는 것이고,

    이것을 분별을 해서 정리를 해서 바르게 가져가는 것은 내가 해야 되는 것입니다.

    이 분별을 잘못해서 내가 잘못해 내가 어려워진 것을 남 탓을 하면 되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너에게 다시 어려움이 또 생깁니다.

    자연이 운용하는 근본 원리를 우리가 알아야 됩니다.

    하느님이 우리를 이끌어 주지만 네가 잘못한 것은 채찍을 치는 것이 하느님입니다.

    내가 잘못해 놓고, 잘못한 것이 없다고 하면, 하느님이 너를 또 도와주겠습니까?

    내 습관을 바르게 잡아서 바르게 사는 데에서 하느님이 너를 도와주지 않겠습니까?

    잘못을 했더라도, 내 잘못을 느끼고 빨리 알아서 이런 것을 내가 잘못을 했다고 생각을 할 때,

    이제 알았다 하고 너를 또 도와줄 수 있는데, 자기 잘못이 뭔지를 모릅니다.

    남 탓하는 것도 잘못이지만, 그다음에 습관을 잘못 들인 것은, 내가 옳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천하 없는 답이 있어도, 상대성이 있는 것입니다. 답은 이것이 옳은 것 같지만,

    너 혼자 있을 때 맞지만, 이것이 상대에게 적용됐을 때, 이때는 변하는 것이 답입니다.

    상대하고 의견을 맞추어서, 답이 변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려면 상대의 환경을 알아야 되고, 상대의 근기를 알아야 되고, 그 사람의 지금 상태를 알아야 됩니다.

    거기에 맞춰서 답을 내가 내줬다면 이것은 무조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상대를 모르고 내 것을 주장해서 이루려 하니까, 안 되는 것입니다.

    이런 것은 습관이 잘못된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모순이라는 것입니다.

    우리 국민들의 모순이 어디에 있느냐? 물으면,

    남 탓하는 것, 내가 옳다고 주장하는 것, 이 모순은 필히 고쳐야 됩니다.

    내 행동은 내가 하지만 판단은 상대가 합니다.

    상대는 판단을 했지만, 말을 하고 안 하고는 상대가 하는 것이지, 너는 모르고 돌아갑니다.

    이런 것들이 우리가 습관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우리가 항상 어려움을 당하고,

    상대는 나에게 말은 안 하지만, 어떤 결과가 나에게 오지 않고,

    그것이 뭔지를 모르고 지나가니, 다른 곳에서 또 실수를 합니다.

    이런 것을 해서 우리가 자꾸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내가 상대를 모르고 말을 해서 상대를 아프게 했다면, 절대 너에게 아픈 일이 옵니다.

    뿌린 대로 거둔다는 말도 있습니다.

    내가 어려워지는 것은 내가 뿌리지 않았으면 절대 어려움이 오지 않습니다.

    이런 것들이 안 좋은 습관, 모순이라는 것입니다.

    이런 것이지, 일상생활에서 조금 나쁜 것을 전부 다 모순 모순 이렇게 하면 안 됩니다.

    큰 것 몇 개만 잡아도, 이런 것이 습관이 잘못됐다면 바로 잡아야 되겠구나. 이런 것입니다.

    우리가 앞으로 살아나가는 것이, 지금 우리 국민들은 전부 다 엘리트들입니다.

    엘리트들은 어떻게 살아야 되느냐 하면, 내 아랫사람들을 위해서 살아야 내가 엘리트입니다.

    귀족이 되려면, 귀족은 위의 사람들을 위해 사는 것이 아니고, 밑의 사람들을 위해서 사는 것입니다.

    지식인이 되었다면, 전부 다 아랫사람을 위해서 살게 되어 있습니다.

    아랫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모르고 이런 공부를 안 합니다.

    안 하면 아랫사람을 위해서 살 수가 없습니다. 모르는데 어떻게 아랫사람을 위해서 살 수가 있겠습니까?

    이런 것들을 우리가 공부하는 것입니다. 내 모순을 찾는 것은 굵직굵직한 것을 찾으십시오.

    항상 남 탓하고 있지는 않는가? 내 방법대로 주장은 하고 있지 않는가?

    또 내 주위 사람에게 내 방법대로 안 된다고 짜증은 내고 있지 않는가?

    이런 것들 몇 가지만 잡아도, 우리는 기운이 엄청나게 달라집니다.

    이 세 가지는 하느님이 최고로 싫어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전부 다 욕심입니다. 네 방법대로 안 된다고 네가 짜증 내는 것은 욕심내고 있는 것입니다.

    욕심 낸 만큼 네가 어려워진다는 것도 알아야 됩니다.

    큰 모순을 지금 잡으십시오.

    큰 모순을 잡으면 작은 모순은 저절로 해결 납니다.

    너무 세세히 따지 마십시오.

     

     

     

    감사합니다.

    아는 척, 내 주장 고집부리지 않고, 잘 듣고 배우며,

    남 탓, 불평불만하지 않고, 원인을 내 모자람에서 찾으며,

    짜증 내지 않고 미소를 보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