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모님과의 인연 (홍익인간 인성교육 11536,7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9. 22. 12:48
정법강의 11536강 정법강의 11537강 부모님께 죄송한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알아야 됩니다.
부모님과 자식 간의 관계는 빚쟁이 인연으로 저절로 되는 것입니다.
누가 더 빚이 많으냐? 부모님이 빚이 더 많고, 자식의 빚이 더 적습니다.
자식의 빚이 하나도 없으면 이 고리가 안 맞습니다.
3대 7의 법칙으로 부모님의 빚이 70% 있고, 자식이 30% 갖고 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연이 됐는데, 부모의 70% 빚을 갚는 것은, 자식이 21세 될 때까지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바라지하고 정성을 다 하는 것이 빚 갚는 것입니다.
21세까지 성장을 하는데 어떤 성장을 얘기하느냐?
지식을 갖추고 모든 것을 갖추어서, 성인으로 성장을 하는데 모자람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입니다.
최선을 다 했을 때, 이 사람이 살아가는데 이 사회에 약점이 없이 살아갑니다.
그러면 부모님이 자식 때문에 걱정을 하나도 안 합니다.
내가 정성을 다 했을 때 얼마만큼 환경 에너지가 가느냐? 70%를 얘기하는 것입니다.
내가 100% 인생을 바쳐 정성을 다 하는 것이 아니고,
자식이 살아가는데, 성장을 하는데, 70%가 되도록 뒷바라지를 한 것을 얘기합니다.
이 세상에 100%는 절대 없습니다. 모든 함수는 3대 7의 법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우리가 열심히 해서 하는 것은 70%가 완성을 하는 것입니다. 그다음은 자연이 해주는 것입니다.
부모님이 자식을 키울 때는 정성을 다해 키우면, 70%의 완성을 시켜서,
사회에 나갈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서 내보내 주는 것입니다.
젊은이가 바르게 성장을 해서 사회에 접근해 가면 어떻게 되냐?
나머지 모자람은 사회에서 다 봐주고, 넉넉하게 상대를 해 주면서 30%를 채워 줍니다.
70% 교육을 잘 받아서 나오기 때문에, 사회에서 보기가 너무 좋아서, 30%는 다 도와주면서 완성이 됩니다.
원리가 이렇게 되고 있는 것입니다.
잘못 키웠을 때는, 나는 대충 한다고 했지만 대충 키워서 30%, 40% 밖에 못 키웠습니다.
그러면 모자란 부분은 21세부터 표가 납니다. 사회에 접근하면서부터 우리 아이들이 왕따를 당한다든지,
적응을 못 한다든지,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든지, 싸우고 온다든지, 취직이 잘 안돼 돌아온다든지,
여러 가지 환경으로 옵니다. 부모 곁을 못 떠납니다. 잘못 키웠으면 절대로 부모 곁을 떠나지 못합니다.
21세부터 30세까지는 잘못 키운 것들을 전부 다 내가 보면서 눈물을 흘려야 됩니다.
그러면서 같이 생활하는 것이 오래가는 것입니다.
오래가면서 잘못 키운 것이 무엇인가를 발견해서 서로가 잡도록 노력을 하라고 시간을 주는 것입니다.
그것이 20대입니다. 크게 잘못 키운 것이 맞다면, 20대는 부모의 슬하에서 벗어나지 않게 만듭니다.
같이 노력을 하면서 이것을 바르게 잡아 나가야 되는 기간입니다.
30대가 되면 너희가 어떻게 노력을 했든 노력이 끝났습니다.
잘했든 못했든 노력한 것이 끝났기 때문에, 자식이 혼자 독립을 해야 합니다.
독립을 안 하고 오래 있었다면, 가면 갈수록 부모 책임을 네가 져야 합니다.
부모는 계속 안 좋아지고, 부모 책임은 내가 져야 되고, 이 꼴이 납니다.
왜? 거기 붙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부모님이 병나기 전에, 어려워지기 전에,
내가 부모님 곁을 떠나서 잘 지내면, 부모님은 그렇게 아파지지 않습니다.
부모님 곁에 붙어 있으니까, 부모님이 조금씩 조금씩 어려워집니다.
그래도 붙어 있으니까, 부모님이 병이 들어 자빠집니다. 이제 발목 잡힙니다.
그때는 전에 떠날 걸, 부모가 아파서 자빠지면, 그때는 발목 잡혀서 못 떠납니다.
신랑을 떠나려면 진작 떠나든지, 신랑이 자빠지면 못 떠납니다. 기회가 있을 때 서로가 독립하는 것입니다.
독립을 못 한 만큼, 오늘날 내가 거기에 사로 잡혀 있는 것입니다.
이제 부모님이 어렵습니다. 어려운 것을 보고 떠나지를 못 합니다.
부모님이 언제부터 어려워졌는지 계산을 해 보십시오. 네가 붙어 있었기 때문에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어려워지는데 부모님을 내버리고 가는 연이 되면 욕 들어 먹으니까 못 가는 것입니다.
네가 부모를 위해서 붙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갈수록 어려워집니다. 또 못 갑니다.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왜? 모르니까.
부모님의 도움을 다 받는 것은 20대까지입니다.
잘못된 것을 고치는 데도 부모님이 필요하게끔 되어 있으니까.
그것을 잘했든 못했든 그다음에는 독립해야 됩니다. 독립해서 30대는 모자란 것도 네가 고쳐 가면서,
네가 네 공부를 해 가면서 이 때는 완전히 내 공부하는 시간입니다.
30대는 직장을 들어가도 공부를 하고, 이제는 사회 공부를 하는데,
이제는 너를 이끌어 주는 선생이 없습니다. 현장에 내던져 놓고, 네가 공부를 해야 됩니다.
현장에 나가기 전까지 기초 공부를 잘해 놨어야지, 현장에 나가면 대처를 잘하는데,
이것이 인성 교육입니다. 이 공부를 한 사람이 하나도 없습니다.
사회에 적응하는 교육, 사회에 나가면 사회가 무엇이라는 것을 가르쳐 줬어야 되는데,
이것을 대학에서도 안 가르쳐 줬고, 이 사회에 기초를 잡으면서도 안 가르쳐 줬습니다.
지금은 이 지구촌에 사회 교육이라는 것이 없습니다.
지금 매뉴얼에 있는 것들은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이 잡아 놓은 것입니다.
앞으로 미래 사회는 그 사람들의 사회가 아닙니다. 이것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 삶에서 이것을 해결을 못 하는 것이지, 과거의 것을 주면 단번에 해결합니다.
지금 우리 삶에 닥쳐온 것을 해결 못 하는 이런 것들을 사회교육을 받은 적이 없습니다.
이것이 정확하게 이 지구촌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이 오늘 이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을 우리는 내 길을 찾아가는 것, 이것을 생활도라고 하는 것입니다.
생활도는 신앙이 아닙니다. 사람이 이 사회를 살아나가는 길을 찾는 것을 얘기합니다.
이것이 인성교육이고, 이 사회교육이고, 자연교육입니다.
내가 이 나라의 시민이 되었다는 것은 시민교육을 받아야 됩니다.
자연의 법칙으로 이 시민이 이 시의 주인이라면, 이 주인이 어떻게 살아야 되는가를,
우리는 교육을 받았어야 되고, 알았어야 됩니다.
이 대한민국이 국민의 나라가 맞다면 이 국민은 대한민국의 주인인데,
주인으로서 이 시대에 어떻게 살아야 되는 것도 교육을 받아야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인성교육입니다. 그 안에 여러 가지가 있는 것입니다.
내 자신이 어떤 환경을 만날 텐데, 만날 때 나는 어떻게 살아야 되는지,
내가 누구인지, 상대는 누구인지, 왜 이런 환경이 우리에게 주어지는지,
이것을 어떠한 생각으로 살아야 되는지, 이런 것을 교육을 못 받은 것입니다.
이런 것이 인성교육이 없고, 기초교육이 지금 없다는 것입니다.
이 사회에 나오려면, 사회에 나오는 기초교육을 받아야 되는데, 지식은 과거의 것을 물려받아서,
고거에 이렇게 살은 것들을 알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되는 조금 길잡이가 될 뿐이지,
우리는 그런 것을 연구를 하고 있다든지, 노력을 한 사람이 있었어야 하는 것입니다.
지금 질문하신 분이 어떻게 해야 되냐?
부모님이 어떻던지 간에, 일단은 내가 분리가 돼야 됩니다.
내가 자꾸 부모님에게 불만을 할 때는 떠나야 됩니다. 안 떠나고 있으면 불만거리가 더 생깁니다.
더 생긴다는 것은 부모님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소리입니다.
그 여파가 나에게 와서 불만을 하는 것입니다.
불만을 안 하는 자리로 떠나세요. 속은 아프고 힘들지만 떠나야 됩니다.
이것이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지독하다 해도 자연의 법칙은 그렇습니다.
내가 부모님 옆에 있으면, 이 사회가 이 부모를 너에게 맡겨야 됩니다.
이 사회는 혈육이 옆에 있으면, 사회가 이 사람에게 이 사람을 맡겨야 됩니다.
내가 떠나고 아무도 없으면, 처음에는 외롭고 힘들겠지만,
여기에 맞게끔 사회에서 에너지가 다가와 여기를 채웁니다.
이 분을 담당해줄 담당이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구청에서 만들어내든, 사회단체가 만들어내든 이웃이 만들어내든 합니다.
왜? 여기에 담당자가 없어졌기 때문에 이제는 올 수 있어요.
인연은 그렇게 주는 것입니다. 내가 안 모시면 안 된다는 생각을 버리십시오.
일단은 피눈물을 씹어 삼키면서, 한 3년 떠나 있어 보십시오.
그러면 그 자리에 새로운 인연들이 와서 보살필 수 있습니다.
보살피러 오는 사람은 불평하지 않습니다. 불평하는 사람은 떠나야 됩니다.
앞으로 이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어떤 일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친구에게 불평을 하거든 빨리 헤어져라. 너희들이 어려워질 테니까.
기업을 불평을 할 때는 기업을 떠나라. 지금은 네가 조금은 아쉽고 힘들겠지만,
떠나야만 너의 인생이 나옵니다. 왜? 그래야 내가 이 기업을 헐뜯지 않고 불만을 안 할 테니까.
내가 불만을 하는 것이 조금 한다고, 당장 어떤 일이 벌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불만을 하게 되면 이것이 조금씩 쌓여서 나를 무너뜨리는 힘이 됩니다.
어디에서도 불만이 있으면, 이것을 바르게 잡으려 노력을 해 보든지, 아니면,
여기서 떠나십시오. 그것이 내 인생을 새로 만드는 것입니다.
자연은 항상 너희들을 도우려고 준비를 하고 있는데,
네가 돕지 못하도록 만드니까 안 도와주는 것입니다.
네가 빌어서 도와주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그것은 무식할 때 이야기이고, 이제는 바르게 알고 살아야 됩니다.
내 남편을 불만하지 마라 불만을 하면서 같이 살면, 네가 어려워진다.
이것을 바르게 알아 불만을 안 하고, 감사하면서 살면, 네가 어려워졌던 것이 돌아옵니다.
세상은 감사할 때 너에게 에너지를 주지, 불만을 하는데 에너지를 자연에서 절대 주지 않습니다.
불만을 하다가 이것이 쌓이면, 내가 어려워지고, 어려워지고 나면 또 남 탓을 합니다.
이러면 네가 아파서 자빠집니다. 우리는 그 코스를 자꾸 밟고 있습니다. 왜? 모르니까.
우리가 왜 같이 오래 있으면서 부모님을 불만을 하느냐? 오래 있어서 그렇습니다.
30대가 되면 어지간하면 분리하십시오. 가끔 한 번씩 들려 보는 것은 괜찮은데,
같이 붙어 있으면 부모님이 어려워지고, 그것은 네 책임입니다.
부모님 하고는 조금 떨어져서 내가 기반을 잡고 사회에 잘 적응을 하면서,
부모님에게는 내가 좋아서 와야지, 어려울 때 와서 부모님을 걱정되게 만들면, 이제부터 사고 나는 것입니다.
이 스승님에게 정법 공부하는 분이 많습니다. 이 분들이 스승님 앞에 나타나려면,
네가 이 공부를 100일만 열심히 들으면, 듣기만 해도 좋아집니다.
몸도 좋아지고, 환경도 좋아집니다. 갑갑한 것도 풀리고 좋아집니다.
좋아지고 나서 스승님 앞에 오라는 것입니다.
안 좋아진 사람은 스승님 앞에 한 면도 데려오지 마십시오.
안 좋아졌다는 것은 이 법문을 열심히 안 들었다는 것이고, 바른 길을 찾으며 열심히 공부 안 했다는 것이고,
안 한 사람, 어려운 사람을 스승님에게 데리고 오면 안 됩니다.
어려운 사람은 공부를 하고 있어야 됩니다. 공부를 열심히 하면 어려움이 풀립니다.
풀리고 나서 스승님에게 데리고 오면 스승님 감사합니다 하고 오지, 미치겠습니다 이러면서 안 옵니다.
어려운 사람에게는 너 무조건 100일은 열심히 들어라. 풀리니까 들어라. 딱 이 소리만 하십시오.
안 들으면 방법이 없으니까 놔두면 됩니다. 100일을 열심히 들으면 무조건 좋아집니다.
좋아진 사람이 스승님 앞에 나타나는 것도, 스승님도 만나는 것도 됩니다.
스승님은 앞으로 워낙 많은 사람들을 만나야 되기 때문에 탁한 사람은 안 만납니다.
좀 좋아져서 만나야 됩니다. 탁한 것이 자꾸 오면 징그러워서 어떻게 하라는 것입니다.
웃으며 와야 됩니다. 좀 좋아졌으니 웃으며 오지요.
이때 스승님의 정법 가족이 되어 가는 것입니다.
그때 보살펴 줄 수 있습니다. 왜? 기본은 노력을 했지 않느냐.
노력하는 사람은 하늘이 돕고, 불평하는 사람은 절대 하늘이 안 돕습니다.
내가 모자라서 부모님을 캐어 못 하면서, 그 옆에 붙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불평하면서 붙어 있는 사람입니다.
떠나십시오. 네가 떠나야 부모님을 보살필 인연을 하늘에서 또 줍니다.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시대의 운동과 식생활 (홍익인간 인성교육 11544,5,6,7강) (0) 2021.09.24 고용주와 고용인의 어울림 (홍익인간 인성교육 5146강) (0) 2021.09.23 코로나 시대의 추석 잘 보내기 (홍익인간 인성교육 11535강) (0) 2021.09.21 자아 수행을 하다 보면 자괴감에 빠진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11534강) (0) 2021.09.20 이사 갈 때의 마음가짐 (홍익인간 인성교육 9179강) (0) 2021.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