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 - 내 자신이 부자 (3-3) (홍익인간 인성교육 4939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 27. 12:28
정법강의 4939강 아음의 부자가 세상을 다 가졌는데 가진 것이 왜 없습니까?
그 말을 네가 정확하게 깨달았다면 '가진 것은 없어도 마음은 부자다'라는 말이 안 나오는 것입니다.
나 자신이 부자다. 무엇이든지 내가 운용할 수 있다. 이것이 부자인 것입니다.
가진 것이 없는데 무슨 마음이 부자입니까?
내 마음이 부자인 사람은 세상 것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언제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오늘 내가 이 자리에 앉았고, 물 한 잔을 먹어야 되니까, 물컵이 필요한 것이지,
물을 다 먹고 나서 놓으면, 이것은 필요 없는 것입니다.
언제 어디서든지 내 앞에 있는 것을 항상 쓸 수 있고,
내가 일함에 따라서, 일의 영역에 따라서 크게 쓴다. 이런 것이지,
세상에 다 보이고 다 있는데, 뭘 욕심을 냅니까?
예를 하나 들면, 사람이 가정을 가지고 사는 사람은 가정이 너의 가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너의 가정이 있는 것입니다. 세상은 내 가정이 있는 것이 아니고, 내가 있는 것입니다.
내가 어떤 일을 하느냐에 따라서 내 주위에 사람이 많이 필요하고, 쓸 수 있는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것입니다.
일을 하는데 우리가 질량을 크게 하는 사람들은, 내 주위에 보좌하며 일할 사람이 많아야 됩니다.
왜? 질량이 큰 일은 한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모이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밥도 해야 되고, 빨래도 해야 되고, 어떤 사람은 살 살 웃으면서 내 기분도 맞춰줘야 되고,
어떤 사람은 어떤 역할을 해야 되고, 이렇게 큰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오만 것이 다 필요합니다.
그럼 것들이 양념이 되어 일이 성사가 되는 것이지, 뭔가 네가 특출한 재주를 가졌다고 성사되지는 않는 것입니다.
아주 잘생긴 사람이 앉아서 대화하면 인간만큼 꽃다운 꽃이 없습니다.
꽃이 하나 앉아 있고, 같이 대화를 하니까 얼마나 분위기가 좋습니까?
호박 같은 사람만 서너 명 앉아있으면 대화도, 뭔가 작품이 좋지 않습니다.
고루 섞여야 됩니다. 그래야 에너지가 맞기 때문에 거기서 작품이 나오는 것입니다.
모든 것은 우리가 큰 일을 하면 많은 사람들이 그 사람을 받치려 듭니다. 그래서 작품을 이루어내는 것입니다.
수행하는 사람은 아무 일도 안 하니까 혼자 있는 것이 맞습니다.
밥도 혼자 해 먹고, 무위도식하고 있으니까, 그것을 거들어주면 안 되는 것입니다.
수행하는 사람에게는 절대 거들면 안 되는 것입니다.
자기가 신을 신고 싶으면 자기가 신어야 되고, 옷을 깨끗이 입고 싶으면 자기가 빨면 됩니다.
깨끗이 안 입고 싶으면 그냥 입으면 됩니다. 누가 뭐라 하지 않습니다.
누가 거들면 수행이 끝나는 것입니다. 왜? 내 것을 누가 자꾸 해 주니까, 자꾸 욕심이 생기고 거기에 익숙해집니다.
공부하는 사람에게 뭘 한 달만 갖다 주면, 그다음에 안 갖다 주면, 왜 안 주지 그 생각만 합니다.
공부하는 사람은 뭐든지 자기 손으로 행동하면서 나의 공부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왜? 네가 아직까지 이 사회를 위해서 빛나는 일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누구를 부릴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공부하는 사람은 항상 이것을 명심해야 됩니다.
누가 뭔가를 하나 해주면, 그 감사한 마음으로 나도 그 사람에게 뭔가를 해야 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됩니다.
그것이 도반이 되는 것입니다. 내가 군림하면 이제부터 공부는 끝나는 것입니다.
수행자는 항상 낮은 자세여야만 수행이 되는 것입니다.
어떤 일을 하느냐에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운집하고, 그 일을 스스로 하게 받혀집니다.
수행하는 사람은 아직까지 아무 일도 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네가 스스로 하는 것이 수행입니다.
그것 자체가 너의 수행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 조카의 죽음 (홍익인간 인성교육 4933강) (0) 2022.01.29 고집 센 인연 (홍익인간 인성교육 4934강) (0) 2022.01.28 마음만은 부자 (2-3) (홍익인간 인성교육 4938강) (0) 2022.01.26 엄마의 인맥과 아이의 또래 친구 사귀기 (홍익인간 인성교육 11935강) (0) 2022.01.25 아이들의 한글 학습 시기 (홍익인간 인성교육 11934강) (0) 2022.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