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뜻있는 산악회 활동 (홍익인간 인성교육 4433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 15. 11:22
정법강의 4433강 우리가 힘이 아주 없을 때는 산에 안 갑니다. 힘이 어느 정도 갖추어지면 그다음에 산으로 가는 것입니다. 힘이 완전히 갖추어지면, 이것은 70%를 얘기합니다. 갖추어지고 나면 산을 안 갑니다. 그때는 바다로 갑니다. 우리는 음양의 이치가 있어서, 산에서 기운을 받을 때가 있고, 이 기운을 받아 기운을 다 키웠으면, 이 사회에 기운을 써야 되는데, 내가 갖춘 것이 없는 것입니다. 산 정기만 잔뜩 받아서 힘이 있습니다. 이 정기를 어디에 뿌려야 되느냐? 내가 지식도 같이 갖추었어야 됩니다. 그 지식으로 하여금, 내가 사람들에게 말을 할 때 힘이 실리고, 내가 신장에 힘이 실려서, 이 사람들에게 그 힘이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그런 힘만 키워놨지, 진리는 갖추지 않았다. 이것이 공부를 안 한..
-
사주와 사진의 연관성 - 남의 말을 잘 듣고 갖추어라 (홍익인간 인성교육 4434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 14. 11:32
정법강의 4434강 지금 질문하신 분이 사진을 전공하고 사진작가로서 활동을 할 때, 무엇을 하기 위해서 사진을 방편으로 하여금 나를 움직이게 했는가? 그 재주를 방편으로 팔도 명산을 밟게 해서 지리 공부를 시키고, 자연 공부를 시키려고 그 재주를 주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을 누가 못 이끌어줘서, 나는 사진 잘 찍는 줄 알고, 작가인 줄 알고 착각을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작가는 내가 자리를 밟고, 내 공부를 하면서 가는 곳마다 찍으면 내 작품입니다. 진짜 내가 해야 될 공부는 안 하고, 자꾸 그런 데만 하니까, 나에게 어려움이 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주를 배우는 것은 사람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사주를 배우는 것은 사주를 배운답시고, 사람을 많이 만나게 되고, 사람으로 하여금 사람을 졸 수 있..
-
뼛속에 넣는 공부 (홍익인간 인성교육 12718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 13. 11:14
정법강의 12718강 공부라는 것은 육체 뼈에 안 들어갑니다. 동물 뼈에 들어가는 것은 음식을 먹어서 비타민도 들어가고 미네랄도 들어가서, 동물에게 뼈가 튼튼해지고 그렇게 사는 것입니다. 음식으로 동물에 영양분을 넣는 것입니다. 그러면 공부를 하면서 뼛속에 넣으라고 하는데, 뭐를 뼈라고 얘기하냐? 신뼈, 신은 영혼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왜 우리가 인간이 될 수 있느냐? 이 동물 육신을 받아서 신인 영혼이 들어와서 융합이 돼서 인간인 것입니다. 그래서 사이 간자를 씁니다. 중간 삶을 산다고 중생이라는 소리도 씁니다. 신과 동물이 융합을 했다 이 말입니다. 융합을 해서 거기에서 일어나는 것이 마음이라는 에너지가 생성이 됐고, 그다음에 융합을 해서 내 영혼이 육신 안에 들어간 것입니다. 이 영혼이 인간에게는 ..
-
좋지 않은 식사 예절 - 모순을 숨기지 말라 (홍익인간 인성교육 4435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 12. 11:32
정법강의 4435강 밥을 먹을 때 어떻게 하면 맛있게 먹을까? 잘 보일까? 이렇게 하면 못쓰는 것입니다. 뭐든지 밥 먹는 것도 행동입니다. 행동은 숨김없이 해야 됩니다. 그래서 약점이 되면 누가 발견하게 되고, 발견을 하게 되면 나에게 돌아옵니다. 그러면 나는 발견을 해서 나에게 돌아왔을 때, 나에게 덕 되는 것입니다. 내 모순은 내가 모르는 것입니다. 누가 내 모습을 자꾸 가르쳐주면, 나는 내가 모르는 것을 자꾸 받아서, 나는 그것을 고쳐야 됩니다. 이것을 못 고치면 큰일 나는 것입니다. 그러니 어떤 일이든 나는 숨기려 하지 마라. 우리가 이렇게 단체로 공부하면서, 전부 다 자기 약점을 숨기려고 합니다. 그러면 3년 만에 공부할 게 30년 걸립니다. 숨기면 안 됩니다. 내놓을 줄 알아야 됩니다. 안 숨..
-
인류를 향한 홍익인간의 사명 (2-2) (홍익인간 인성교육 12720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 11. 11:19
정법강의 12716강 종교집단들이 그렇게 해서 이 답을 찾았다면 세계에 먹힙니다. 대한민국은 이것을 했어야 되는 것입니다. 왜? 어려운 사람이 전부 다 간 게 종교단체입니다. 어려움을 갖고 왔다는 것은, 자료를 갖고 온 것이고, 연구 자료는 가만히 있어도 이리로 다 가지고 왔으니까, 사고가 안 나고 사는 방법도 찾아야 되고, 가정도 헤어지지 않고 사는 방법도 찾아야 되고, 뭔가 어려워서 우리 도파로 다 오지 않았습니까? 기도교 도파, 불교 도파, 전부 다 도파입니다. 이런 것을 갖고 연구를 해서 작품이 나와야 할 때 작품이 하나도 안 나왔습니다. 그래서 유엔이 불러도, 가봐도 쓰일 데가 없습니다. 그래서 돈을 가지고 가면 받아줄까, 받아주지를 않습니다. 뭐가 있어야 받아주지. 대한민국은 인류 연구소입니다..
-
인류를 향한 홍익인간의 사명 (1-2) (홍익인간 인성교육 12715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 10. 11:14
정법강의 12715강 인류를 향해 달려갈 때가 됐습니다. 지났습니다. 달려갈 때 달려가야 되는데 달려갈 때가 지났고, 세계가 우리를 청하고, 부르고, 손짓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나갈 수가 없습니다. 왜? 갖춘 게 없어서. 우리를 키울 때가 있는가 하면, 우리가 필요할 때가 있는 것입니다. 2013년도부터 대한민국이 필요한 게 지구촌 인류사회입니다. 그런데 대한민국은 나가서 내 돈 벌 생각만 하지, 국제사회를 위해서 내가 뭐를 준비한 것이 없다 보니까, 그것을 하러 안 가는 것입니다. 지금 앞으로 가면 갈수록, 지금 한 10년이 지났는데, 계속 대한민국을 손짓하러 올 것입니다. 올 때마다 우리는 거기에 할 것이 없다 보니까, 돈을 얼마 준다든지 그런 짓밖에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돈은 세계가 더 많..
-
부메랑으로 돌아온 말 - 갑을 관계 인식의 중요성 (홍익인간 인성교육 4436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 9. 11:51
정법강의 4436강 우리가 갑을 관계가 있습니다. 갑은 을을 도와줘야 될 의무가 있습니다. 을은 갑에게 도움을 받아야 될 의무가 있습니다. 을은 갑을 도울 의무가 없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원리를 알아야 됩니다. 항상 갑은 아래를 위해서 살아야 될 의무가 있고, 이렇게 안 살면 너는 어려워집니다. 을은 내가 도움을 받아서 성장하지 못하면, 네가 어려워진다는 말입니다. 뭔가 갑에게 저것을 약점이라고 했다가는 네가 얻어터지게 돼 있습니다. 네가 도우려 하는 짓이지 않습니까? 약점이라고. 을은 갑을 못 돕습니다. 그것을 보면서 약점으로 보여도, 저렇게 할 때 그것을 받아들여서, 나는 저렇게 하지 말아야지 하는 것이지, 그것을 지적을 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을은 보고 내 공부를 삼아야 됩니다. 갑은 이런 것을..
-
노년의 생산적인 삶을 위하여 (홍익인간 인성교육 12713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3. 1. 8. 11:45
정법강의 12713강 우리가 노년이 되면, 몇 살부터 노년이 될까? 과거에 우리가 살아나갈 때는 60 갑자 인생을 살았습니다. 지금 우리는 전부 다 백세 인생을 사는 것입니다. 왜 이렇게 40년이 불어났을까요? 과거에는 자식을 낳아 자식을 기본을 키우고 나면 나는 떠나야 됩니다. 그래야 윤회해도 또 돌아오지요. 바쁩니다. 일찍 죽어야 됩니다. 그런데 지금은 자식을 낳는 것은 기본이고, 나를 갖추어서 성장을 해야 됩니다. 누구든지 나를 갖추어서 성장을 해서, 70%까지 성장을 하면 청년기가 마칩니다. 청년기를 마치면 노년기로 가는 것입니다. 노년기는 언제부터냐? 50부터 노년기로 가는 것입니다. 50인데 요즘 노년 아니던데요? 당연히 아닙니다. 시간을 벌었으니까. 그래서 80까지 청년으로 보면 됩니다.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