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인간 인성교육
-
소질 찾기와 계발, 재미있게 하는 법 (홍익인간 인성교육 8851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0. 28. 11:56
정법강의 8851강 왜 그렇게 되고 있느냐 하면, 열심히 해서 그렇습니다. 뭐든지 하면 내가 열심히 하니까, 이것도 하면 잘하고 저것도 하면 잘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내가 무엇을 진짜로 잘하는지 모르는 것입니다. 소질은 우리가 대학을 다닐 때 내 소질이 나옵니다. 우리 대학이 운용을 잘못하는 것이, 대학은 자기 소질을 개발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그래서 처음에 대학을 갈 때, 나는 무슨 과, 이렇게 하면 안 됩니다. 처음부터 과를 정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네가 뭘 그것을 잘하는 줄 알고 그것을 합니까? 우리 대학은 원래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어야 되느냐 하면, 대학은 이것도, 저것도 해볼 수 있도록, 프리로 열어놓은 곳이 대학이어야 됩니다. 이것 조금 해보고 때려치우고 싶으면 때려치우고, 저기에 가서 또..
-
회장님의 검소함 (홍익인간 인성교육 5120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0. 27. 10:57
정법강의 5120강 질문의 요지는 우리도 검소하게 살아야 됩니까? 이것이죠. 아닙니다. 그 사람은 그 사람의 습관이 있고, 이 사람은 이 사람의 습관이 있는 것입니다. 검소한 것이 언제는 필요한 때가 있고, 언제는 갖추고 잘 꾸미고 일을 해야 될 때가 있습니다. 검소한 것이 필요할 때도 있었습니다. 지금은 검소하게 가면 우리가 실력 발휘를 못 합니다. 유명한 회장이 검소하게 지내면서 내 부하 직원 간부들이 나처럼 중고차 타면 좋아할 것인가? 내 보냅니다. 내 부하 직원들이 중고차 타고, 옷을 그냥 입고 다니면, 이 회사에서 일을 바로 못하는 사람이니까, 이 사람은 쫓아냅니다. 왜? 회장님은 옷을 그런 것을 입고 가도, 나에게 수주를 받으러 오고 수주를 딸 수가 있습니다. 우리 회사 책임자에게 일을 맡겨 ..
-
마음의 상처 (홍익인간 인성교육 5121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0. 26. 13:56
정법강의 5121강 마음은 상처를 입는 적이 없습니다. 마음이라는 것을 우리가 잘 모르는 것입니다. 마음이라는 것은 절대 상처 안 입습니다. 우리가 마음이라는 것을 만져 보면, 마음이라는 것은 상처를 입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우리가 상처를 왜 입느냐? 내 욕심이 있어서 상처를 입게 됩니다. 사람이 욕심이 있다는 것은, 뭔가 꿈틀댄다는 소립입니다. 꿈틀대고 뭔가는 하고자 하는데 내 실력이 모자랄 때, 실력이 모자라게끔 행동을 했을 때, 이것이 상대로부터 들어오는 환경이 나에게 채찍을 칩니다. 이럴 때 내가 상처를 입는 것입니다. 마음이 상처를 입는 것이 아니고 내 영혼이 상처를 입습니다. 내 영혼과 마음은 다른 것입니다. 내 육신이 상처를 입는 것이 아니고, 내 영혼이 상처를 입으면, 이것이..
-
주변에 정신적 이상자가 많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5123, 4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0. 25. 10:42
정법강의 5123강 정법강의 5124강 내가 만나는 사람들과 인연이 되는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내가 지금 만난다는 것은 나에게도 그런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는 내가 괜찮은데 남이 볼 때는 나에게도 조금 그럴 수 있습니다. 자기 판단은 내가 내 판단을 하는 것이고, 남이 나를 판단하는 것이 다른 것입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는 남이 판단해 주는 것이지, 내가 판단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왜 그런 사람들을 만나냐? 우리 공부가 그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문제가 있다 하기 이전에, 저 사람도 문제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저 사람도 외롭고, 힘들고, 주위가 방치하는 바람에 지금 어렵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30년 친구가 형제처럼 가까이했는데, 이 사람이 또 그렇게 다가온다면, ..
-
자식에 대한 관심과 집착의 차이 (홍익인간 인성교육 11651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0. 24. 11:40
정법강의 11651강 집착은 욕심입니다. 욕심이 들어갈 때 집착이 되는 것입니다. 집착은 욕심이라고 할 때, 이것은 무조건 정리되어야 되는 것이 맞습니다. 욕심은 화를 부릅니다. 절대적으로 이 대자연의 근본 원리입니다. 집착은 놓아야만 됩니다. 안 놓는다면 이것은 뭔가 병자이고 환자입니다. 이것은 고쳐야 됩니다. 고쳐서라도 놔야 됩니다. 그래야 내 자식도 살고 나도 삽니다. 내 형제도 살고 나도 살고, 집착의 고리는 무조건 놔야 됩니다. 서로가 사는 길이 열립니다. 고리를 묶고 있으면 안 됩니다. 집착은 고리입니다. 꽉 묶여서 아무 일도 못합니다. 안 풀립니다. 이것은 병입니다. 이것 만큼은 어떻게 해서라도 놓게끔 치료를 해야 됩니다. 관심이라는 것은 어디가 한계인가를 봐야 됩니다. 관심은 어릴 때 다르..
-
정신활동이 많은 현대인의 육체피로 (홍익인간 인성교육 11649,50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0. 23. 16:06
정법강의 11649강 정법강의 11650강 인간의 구조 자체가 정신과 육체가 있습니다. 우리가 지식을 갖추면서 정신이라고 하니까, 우리 두뇌를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정신은 두뇌가 아닙니다. 두뇌도 육체입니다. 정신은 내 영혼을 정신이라고 합니다. 이 두 질량이 융합을 해서 사는 것이 인간입니다. 육신이 70% 정신이라는 내 영혼이 30%입니다. 질량으로 따지면 육신이 30%, 정신이 70%로 운행의 법칙으로 운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육신으로 어떤 활동을 할 때는 질이 약한 일을 하고, 영혼이 일을 할 때는 질이 높은 일을 합니다. 지식사회에서 질이 약한 일을 할 때는, 정신 영혼은 그냥 기본적인 에너지만 운용되면 됩니다. 지식사회를 넘어 정신이 활동을 해야 되는 시대, 지식은 일반 지식을 다 갖춘 시..
-
이기적인 인간의 홍익행 (홍익인간 인성교육 5130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0. 22. 10:43
정법강의 5130강 사람은 누구나 이기적으로 태어났습니다. 나를 위해서 누가 노력을 해주면 그 사람에게 붙는 것이 사람입니다. 나를 위해서 살지 남을 위해서 안 산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인간의 본연입니다. 우리가 교육을 받으면서 성장을 하면서 내가 자라는 것입니다. 내가 자라면서 내가 질량이 커지는 것입니다. 커지면 나를 위해서 안 살고, 우리 가족을 위해서 삽니다. 가족을 위해서 사는 것이 1단계 질량이 큰 것입니다. 그러면 조금 더 크면 이웃을 위해서 삽니다. 질량이 조금 더 크면 사회를 위해서 살고, 질량이 조금 더 크면 나라를 위해서 살고, 완전히 질량이 크면 인류를 위해서 사는 것입니다. 이것이 인간입니다. 어떻게 해야 그렇게 되느냐? 그런 교육을 받았을 때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나의 본연의 ..
-
흥하고 망하는 것 (홍익인간 인성교육 11631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10. 21. 10:39
정법강의 11631강 앞의 법문 속에서, 기본적으로 너를 일으켜주는 것은 해 준다고 했습니다. 그것이 기업을 운영하는 사람도, 내가 기업을 하니까 하는 것마다 잘 되더라. 부닥치는 게 없고. 그것은 너를 기본적으로 키워 줄 때까지 그렇게 해 주는 것입니다. 너의 사주가 있고, 그릇이 있고, 에너지가 있고, 기운이 있기 때문에, 거기에 맞게끔 이 만큼 지금은 주는 것입니다. 민초들은 식당을 운영하니까 다른 곳은 안 되는데, 나는 잘 된다고 그럽니다. 기본적인 것을 주는 것은 항상 줍니다. 사람은 태어나서 가져온 에너지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것들 기본적인 에너지를 줄 때까지는, 모든 것을 실패 없이 하는 것마다 잘되게 해 줍니다. 기본을 다 주었을 때부터, 내 인생의 고난이 오든지, 더욱 성장할 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