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인간 인성교육
-
자랑하면 묶인다 (혼익인간 인성교육 10948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3. 20. 20:58
홍익인간 인성교육 10948 정법 자랑을 하면 정법에 묶입니다. 자랑을 한다는 것은 정법을 잘 모르는 것입니다. 정법은 자랑을 하는 것이 아니고 내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내 공부를 하는 사람은 공부에 실력이 차고, 자랑하는 사람은 실력이 안 찹니다. 행동을 쳐다보면 정법 공부한 사람이어야 합니다. 자랑을 많이 하지, 내가 공부는 안 합니다. 자랑하니까 붙들어 매이는 것입니다. 공부하라고 붙들어 매이는 것입니다. 그래서 중간에 다른 말이 안 들립니다. 들었는데 안 들리는 것입니다. 안에 안 들어갑니다. 흘러 나갑니다. 정법을 듣고 활용을 잘하라고 했습니다. 자랑하라 한 적 없습니다. 내 앞에 와서 어려움을 이야기하는 사람에게, 그 이야기를 다 듣고 나서, 이야기한 것을 종합을 해보니까, 집안에 아픔이 들..
-
늘 마무리 한 끗이 부족하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10947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3. 19. 17:12
홍익인간 인성교육 10947강 사람마다 재는 척도가 있습니다. 우리는 모든 일을 할 때는 3단을 놓고 가는 것입니다. 3일 것만 설계하라고 법문 한 것이 있습니다. 3년 것을 설계하지 말고 3일 것을 설계한 후에, 또 3일 것을 설계하면 됩니다. 또 3일이 지나고 나서 또 3일 것을 하면 됩니다. 왜 지금 3일 것만 하라고 하느냐 하면, 3일 만에 내 환경이 바뀔 수 있습니다. 2박 3일은 엄청난 것입니다. 그래서 기도할 때 내가 1일 기도가 안 되면, 2박 3일 기도를 하는 것입니다. 2박 3일 해도 작다 하면 7일 기도를 하는 것입니다. 7일 기도도 사이즈가 작다, 내 욕심이 더 크다든지, 내가 어려운 지경을 많이 일으켜 놨다든지, 이러면 내 사이즈만큼의 기도를 해야 됩니다. 사이즈와 기도발은 같은 ..
-
상대와의 관점 차이에서 오는 오해 (홍익인간 인성교육 5436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3. 18. 21:35
홍익인간 인성교육 5436강 오해는 내 질량 때문이고, 내가 상대를 대할 때는 상대에게 맞게끔, 노력을 하고 내 행동이 가야 되는 것입니다. 나는 이렇게 안 했는데, 저 사람은 이렇게 생각한다? 절대 그런 법칙은 없습니다. 내가 평소에 보였던, 내가 지금 행동하는 것이, 상대가 이렇게 생각하게 만드는 부분이 있는 것입니다. 나는 이런 의도가 아닌데 저 사람은 이렇게 본다라고 하는 것은, 저 사람의 근기와 환경에 맞지 않게끔 내가 행동을 해서, 저 사람이 그렇게 표현을 가지게끔 만들어 낸 것입니다. 상대를 뭐라 할 것이 아니고, 내가 이 자리에서 지금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를, 잘 만져 봐야 합니다. 이것들이 공부입니다. 내가 말하고 행동을 할 때는 나의 주관으로 했겠지만, 판단은 상대가 하고, 나에게 주어..
-
노동력의 대체 - 컵 원리 (홍익인간 인성교육 5437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3. 17. 21:36
홍익인간 인성교육 5437강 대한민국은 노동자가 없습니다. 그런데 왜 지금 노동자가 많으냐? 우리들 스스로 노동자가 된 것입니다. 하늘이 우리들에게 노동자 되라고 한 적 없습니다. 저마다 소질을 갖추고 배우라고 했습니다. 내가 지도력을 가지려면 손발을 걷고 이런 일도 섞어서 한번 해보는 것도 괜찮고, 저기 이런 기술이라니까 저런 소질을 내가 한번 갖춰 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의술도 내가 직접 해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의술을 배우다 보니 의술로 먹고 살려하는 것이 노동자가 되는 것입니다. 노동자와 노동자가 아닌 차이는, 내가 그 재주로 먹고살기 위해 살고 있다면 노동자가 되는 것이고, 그 재주를 갖추면서 내가 배우고 발전하는 길을 간다면, 나는 배우는 사람이고, 이 사람들은 더 크게 갖추어서 이 세..
-
잘못하는 상대에게 조언하는 방법 (홍익인간 인성교육 5439,40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3. 16. 12:13
홍익인간 인성교육 5439강 홍익인간 인성교육 5440강 대화를 잘하는 법칙은 갑과 을을 잘 분별하는 것입니다. 누가 갑과 을인지 분별부터 시작해야 됩니다. 내가 갑이면 내가 말할 수 있는 자리이고, 내가 을이면 들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우리가 대화를 하는데, 말을 하는 사람만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고, 상대가 있어서 분위기를 맞춰주는 것도, 우리가 좋은 말을 꺼내서 가질 수 있는 것입니다. 듣는 것도 대화입니다. 우리가 어떤 자리에서는 듣는 대화를 해야 되고, 어떤 자리에서는 내가 말을 하는 대화를 해야 됩니다. 어떤 자리에서는 내가 질문을 하면서 들어야 되고, 어떤 자리에서는 질문 없이 잘 듣고 그냥 소화를 하면서, 감사합니다 하고 떠나면 되는 자리가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대화의 법칙입니다. 을은..
-
하느님의 일꾼 (홍익인간 인성교육 5442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3. 15. 17:35
홍익인간 인성교육 5442강 예수가 옛날에 설교를 할 때, 좋은 자리에서 한 것이 아니고, 어디든지 자리가 있으면 앉아서 질문을 받으면 말을 했습니다. 누가 어려운 것을 이야기하니까, 그것을 가지고 풀어줬습니다. 예수는 마을에 돌아와서 3년 동안 뭔가를 좀 뽑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 당시에 전부 다 자기를 위해서만 살았는데, 백성을 위해서 살려고 한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았습니다. 이것이 그분을 존경할 수 있는 포인트입니다. 나를 위해서 산 것이 아니고, 어려운 백성들을 위해서 살려고 노력했던 이 자체가 단 하루 일지라도 거룩한 사람인 것입니다. 성스러운 사람, 이것이 우리가 예수를 받아들이는 공부라야 되는데, 그러니까 우리가 예수를 닮아가려면, 하루라도, 한 시간이라도, 단 1분이라도 남을 위해서 살려..
-
이사를 잘못 가서 그런지 자꾸 아프다 (홍익인간 인성교육 10932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3. 14. 18:58
홍익인간 인성교육 10932강 나이가 들어 옆에 사람이 있어야 나이를 잘 든 것입니다. 내가 나이가 들면, 나를 보필하는 사람이 옆에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서 우리가 인생을 살아야 잘 사는 것입니다. 나 혼자 살면서 어떻게 하다가 넘어져서 다쳤다고 하면, 내가 인생을 잘못 산 것입니다. 나를 시중 해주고, 돌봐주고, 이렇게 하면서 나를 이끌어주는 자손이나, 내 형제들이나, 뭔가가 내 주위에 있게끔 안 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럴 때는 내가 다 처리해야 합니다. 내가 아파지고 어려워진다는 것은 잘못 살아서 아파지는 것입니다. 잘 살았는데 힘들어지는 법칙은 절대로 없습니다. 내가 뭔가 같이 가야 되는데, 동행할 사람이 없다면, 내가 잘못 살아서 그런 것입니다. 하느님이 나에게 그런 사람을 안 줬나, 혈육을 안..
-
70% 전문가 공부와 30% 공부 (홍익인간 인성교육 10926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1. 3. 13. 22:20
홍익인간 인성교육 10926강 내가 이 분야는 전문이 없는데 알아야 되는 것이라면, 내가 알아야 되는 것은, 30% 이상 절대로 더 들어가면 안 됩니다. 내가 전문성을 가지고 전문의 공부를 해야 되는 분야는, 70%의 그것을 내가 공부를 해야만 됩니다. 70%의 공부를 마치고 나면, 자연이 30% 남은 것을 스스로 공부하게, 인연을 다 줘서 스스로 만들어줍니다. 30% 공부라는 것은, 내가 전문적인 것이 아니더라도, 사람을 상대하고, 어떤 것들을 알아야 되는 것들을 30% 공부하는 것입니다. 나에게 오는 것은 다 나의 공부거리이니 공부를 해야지, 이것을 내쳐버리면 나중에 내 앞에 온 것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 30% 공부는, 내 얖에 온 것을 하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생각난다 그러면 조금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