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인간 인성교육
-
부자 - 내 자신이 부자 (3-3) (홍익인간 인성교육 4939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 27. 12:28
정법강의 4939강 아음의 부자가 세상을 다 가졌는데 가진 것이 왜 없습니까? 그 말을 네가 정확하게 깨달았다면 '가진 것은 없어도 마음은 부자다'라는 말이 안 나오는 것입니다. 나 자신이 부자다. 무엇이든지 내가 운용할 수 있다. 이것이 부자인 것입니다. 가진 것이 없는데 무슨 마음이 부자입니까? 내 마음이 부자인 사람은 세상 것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언제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오늘 내가 이 자리에 앉았고, 물 한 잔을 먹어야 되니까, 물컵이 필요한 것이지, 물을 다 먹고 나서 놓으면, 이것은 필요 없는 것입니다. 언제 어디서든지 내 앞에 있는 것을 항상 쓸 수 있고, 내가 일함에 따라서, 일의 영역에 따라서 크게 쓴다. 이런 것이지, 세상에 다 보이고 다 있는데, 뭘 욕심을 냅니까? 예..
-
마음만은 부자 (2-3) (홍익인간 인성교육 4938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 26. 11:19
니다.정법강의 4938강 세상에 모든 것을 자신 있게 사는 사람은 항상 부자입니다. 마음의 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마음의 부자가 진짜 부자입니다. 재물을 가진 것은 부자가 아니고 재물을 가진 것입니다. 지식을 가진 사람은 부자가 아니고 지식을 가진 것입니다. 우리가 뭔가를 가진 것을 부자라고 할 때, 재물도, 지식도, 재주도, 잘 생긴 오행도, 기운도, 많이 가진 사람이라고 하지만, 원래 그런 것은 많이 가졌다고 하지, 부자라고 안 그러는 것입니다. 많이 가졌고 갖추었다는 것입니다. 부자는 너 자신이 부자라야 됩니다. 무엇이 부자냐? 이 사회를 바르게 아느냐? 너 자신을 아느냐? 인류를 아느냐? 이 대자연을 아느냐? 대자연은 너의 것입니다. 이것을 아는 자가 부자입니다. 대자연은 임자가 없고..
-
엄마의 인맥과 아이의 또래 친구 사귀기 (홍익인간 인성교육 11935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 25. 11:40
정법강의 11935강 또래가 친구가 되게 하려고 억지로 하는 것은 나중에 사고 납니다. 그러면 친구가 어떻게 돼야 되나요? 항상 우리 주위에는 또래가 있습니다. 친구 사귈 수 있는 환경도 항상 있습니다. 언제 친구가 되냐? 누구에게나 어려움이 오게 되어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 오든 방법이 다를 뿐이지, 우리 또래들이 어려움이 없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는 시대입니다. 내가 어려움이 있을 때 누구에게 잘 안 밝힙니다. 그런데 내가 가까워질 사람에게는 밝힙니다. 이것을 도와줘야 됩니다. 도와주고 나면 우리는 친구가 됩니다. 내가 도와준 사람이 10명일 때 7명은 내 친구 됩니다. 내가 도와주고 나야 내 친구가 되는 것입니다. 이제 우리가 서로 열고 갈 수 있는 사회가 오늘날 대한민국입니다. 어른들이든 아이들..
-
아이들의 한글 학습 시기 (홍익인간 인성교육 11934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 24. 11:26
정법강의 11934강 우리가 앞으로 아이들이 연구를 하게 만들 것이냐? 학습을 하게 만들 것이냐? 지금은 학습 방법입니다. 책을 많이 보고, 글을 잘 쓰게 하고, 이런 식으로 우리가 잘 자랄 때가 있었던 것입니다. 시대마다 자라는 방법이 다릅니다. 지금은 우리 아이들이 책을 주면, 잘 가지고 노는 것입니다. 억지로 가르치려 할 필요가 없습니다. 책을 주고 놀이를 할 수 있는, 이런 것을 가르치는 것이지, 문자를 가르치려고 달려들지는 않아야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고정이 되면 거기서 변하기가 힘듭니다. 우리가 7세 전에는 고정이 되면 안 되고, 많은 것을 접하기만 해야 됩니다. 우리처럼 책을 홍수처럼 꺼내서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환경을 가진 나라가 몇 나라 안 됩니다. 종이가 없어서 선거를 못 하는 나라..
-
부자 - 부자와 천국 (1-3) (홍익인간 인성교육 4937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 23. 10:08
정법강의 4937강 부자가 천상에 가기가 제일 쉽습니다. 부자는 이 세상에서 제일 책임자들이 부자가 되는 것입니다. 재물을 많이 가졌다면 우리의 지도자급이고, 책임자 급이기 때문에 재물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 사람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우리 인생이 잘못되기도 하고 잘 되기도 합니다. 희망이 열리기도 하고, 희망이 없어지기도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부자라고 하니까, 돈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부자라고 생각합니다. 이것도 깨야 합니다. 지식을 많이 가진 것도 부자이고, 재주를 많이 가진 것도 부자이고, 경제를 많이 가진 것도 부자입니다. 내가 사람을 많이 얻은 사람도 부자이고, 직위를 크게 가지고 있는 것도 부자입니다. 부자들은 뭔가를 많이 이루었고, 많이 가지고 있고 많은 책임을 가지고 있어..
-
부모가 아이와 노는 방법 및 놀이의 의미 (홍익인간 인성교육 11930,1,2,3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 22. 11:27
정법강의 11930강 정법강의 11931강 정법강의 11932강 정법강의 11933강 우리가 애를 잘 키우려 합니다. 네가 애를 잘 키우려 한다고 해서 잘 키울 수 없습니다. 잘 키우려 드는 것이 욕심입니다. 애는 잘 키우려 드는 것이 아니고, 현재 내가 가지고 있는 질량과 아이가 가지고 있는 질량이 섞여서 활동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 자체를 나도 공부하는 것입니다. 애 엄마가 첫째 애 낳을 때는 애 처음 낳습니다. 애를 처음 키웁니다. 둘째 낳을 때는 둘째 처음 낳습니다. 둘은 처음 키워봅니다. 그렇게 너희들이 잘 아는 것이 아니고, 이제 내 공부하는 것입니다. 우리 아이를 키우는 것도 내 공부입니다. 부모 교육입니다. 부모가 애를 키우며 3년 동안은 애 키우면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공부로 잡아야 ..
-
종교와 융합과 정체성 (홍익인간 인성교육 11924,5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 21. 13:14
정법강의 11924강 정법강의 11925강 갖춘 지식은 내려놓을 수 없습니다. 내려놓는 것이 아니고, 상식에서 멈추어 있으니까 진리로 가르침을 주면, 이것은 저절로 무너집니다. 상식은 무너져야 됩니다. 상식대로 살면 부닥치고 부닥쳐서 더 이상 발전이 없습니다. 멍들고 상처 입고, 서로 간에 싸우고 깨지고 전부 다 갈라집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상식으로 막 갖다 대면서 서로 간에 힘들게 만드니까, 가족도 깨지고, 친구도 깨지고, 기업도 사람들이 다 분열이 일어나고, 종교도 분열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어쩔 수 없으니 거기에 매어 있는 것이지 다 분열됩니다. 왜? 상식을 갖추었기 때문입니다. 상식을 갖추었다는 것은 질량이 크다는 소리입니다. 질량이 크면 붙어 있지 못합니다. 행성이 질량이 크면 행성들끼리 질량에..
-
인간은 왜 신을 믿고 따르는가 - 무소유(2-2)(홍익인간 인성교육 4941강)홍익인간 인성교육 2022. 1. 20. 11:07
정법강의 4941강 우리가 무소유를 바르게 푸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하면, 내가 소유를 하고 있는 한, 나는 빛이 나지 않습니다. 우리 인간은 네가 빛날 때, 네 영혼이 빛날 때, 모든 기운을 털었다고 얘기하는 것입니다. 우리 영혼이 빛나면 완전 신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 인간은 물질인 육신 하고 내 영혼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육신은 물질인데, 우리가 다 쓰고 나면 자연에 돌려줘야 되고 나만 남습니다. 이것이 영혼인데 이 영혼이 맑고 빛나면 네가 신이 되는 것입니다. 본 신, 진짜로 네가 빛나야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소유 무소유를 따지고, 지금까지 전부 다 자기 논리로 이것이 무소유다, 엄청나게 나왔습니다. 논리를 생산한 것입니다. 근본적인 무소유는 무엇을 얘기하느냐? ..